"이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6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400px; margin: 3px 3px 3px 3px;" cellspacing="3"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이상'''
+
! colspan="2" style="background:#415068;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이상(李箱)'''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IdVepTRNUyZ9_qw2PZl3QGAw8kBk.jpg|2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이상2022-1.jpg|20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이상]]
+
| style="width:70px; text-align:center;" |'''본명''' || 김해경(金海卿)
 
|-  
 
|-  
| style="text-align:center;"|'''한자''' || 李箱
+
| style="text-align:center;"|'''출생''' || 1910년 9월 23일<br/>일제강점기 경성부 서서 인달방 사직동계 사직동<br/>(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  
 
|-  
| style="text-align:center;"|'''이칭(별칭)''' || 비구, 보산, 하융 등
+
| style="text-align:center;"|'''사망''' || 1937년 4월 17일 (26세)<br/> 일본 제국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
|-
 
| style="text-align:center;"|'''출생''' || 1910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center;"|'''사망''' || 1937년 4월 17일 (26세)
 
|-
 
| style="text-align:center;"|'''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성부 서서 인달방 사직동계 사직동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부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부
 
|-  
 
|-  
| style="text-align:center;"|'''분야''' || [[소설]], [[]], [[수필]], [[삽화가], [[건축]]
+
| style="text-align:center;"|'''분야''' || 소설, 시, 수필, 삽화, 건축
|-
 
| style="text-align:center;"|'''단체''' || [[구인회]], [[조선총독부]]
 
 
|-  
 
|-  
 
|}
 
|}
 
</onlyinclude>
 
</onlyinclude>
  
 +
=='''개요'''==
 +
이상(李箱, 1910년 9월 23일 ~ 1937년 4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로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가이다.
 +
1930년대 한국 자의식 문학의 선구자로, 그의 작품에서는 근대적 도시풍경과 지식인의 내면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대표 작품은 『[[오감도]]』와 『[[날개]]』가 있다.
  
'''[[이상]](李箱, 1910년 9월 23일 ~ 1937년 4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 (문학)|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로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문학가이다. 본명이 '''[[김해경]]'''(金海卿)이며 본관이 [[강릉 김씨]](江陵 金氏)이다.
+
=='''생애'''==
난해한 작품들을 많이 발표한 시인 겸 소설가. 건축 일을 하기도 하였다. 《날개》를 발표하여 큰 화제를 일으켰고 같은해에 《동해(童骸)》, 《봉별기(逢別記)》 등을 발표하였다. 그는 시, 소설, 수필에 걸쳐 두루 작품 활동을 한 일제 식민지시대의 대표적인 작가이다. 특히 그의 시와 소설은 1930년대 모더니즘의 특성을 첨예하게 드러내준다.  
+
==='''출생 및 성장과정'''===
 +
이상(李箱)은 1910년 9월 23일 경성부 북부 순화방 반정동 4통 6호에서 부친 김영창(金永昌)과 모친 박세창(朴世昌)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부친 김영창은 일본 강점 이전 구한말 궁내부 활판소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손가락이 절단된 뒤 일을 중단하고 집 근처에 이발관을 개업하여 가계를 꾸려 갔다. 형제로는 누이동생 김옥희와 남동생 김운경이 있다. 1913년 이상은 백부 김연필의 집으로 옮겨 그곳에서 성장했다. 백부 김연필은 본처와의 사이에 소생이 없어서 조카인 이상을 데려다가 친자식처럼 키우고 그 학업을 도왔다. 1917년 이상이 8세가 되던 해에 신명학교에 입학하였다. 신명학교 재학 중에 [[구본웅]]과 동기생이 되어 오랜 친구로 지냈다. 1921년 신명학교를 졸업한 후 조선불교중앙교무원에서 운영하는 동광학교에 입학하였다. 1922년 동광학교가 보성고등보통학교와 합병되자 보성고보에 편입하였다. 보성고보에 다니면서 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화가 지망생이 되었다. 1926년 보성고보 4회 졸업생이 되고,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하였다. 1928년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면서 졸업 사진에 본명 대신 이상(李箱)이란 별명을 썼다.
  
 +
==='''취직 및 등단'''===
 +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자 학교의 추천으로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로 발령을 받았다. 이해 11월에는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 영선계로 자리를 옮겼다. 조선에 진출해 있는 일본인 건축 기술자 중심의 조선건축회에 가입했고, 이 학회의 일본어 학회지 《조선과 건축》의 표지 도안 현상 모집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일반에게 홍보하기 위해 발간하던 잡지 《조선》의 국문판에 1930년 2월호부터 12월호까지 9회에 걸쳐 유일한 장편 소설인 12월 12일(十二月十二日)」을 이상(李箱)'이란 필명으로 연재하였다. 1931년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서양화 「자상(自像)」이 입선하였다. 《조선과 건축》에 일본어로 쓴 시 「이상한 가역반응」 등 20여 편을 세 차례에 걸쳐 발표하였다. 1932년 《조선과 건축》에 「건축무한육면각체」라는 제목으로 일본어 시 「AU MAGASIN DE NOUVEAUTES」, 「출판법」 등을 발표하였다. 《조선》에 단편 소설 「지도의 암실」을 비구(比久)'라는 필명으로 발표하고, 단편 소설 「휴업과 사정」을 '보산(甫山)'이라는 필명으로 잇달아 발표하였다. 《조선과 건축》의 표지 도안 현상 공모에서 가작 4석으로 입상하였다.
  
 +
==='''병고와 구인회'''===
 +
1931년 폐결핵 감염 사실을 진단받았다. 1933년 폐결핵으로 인해 직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자 조선총독부 기수직을 사직하고 봄에 황해도 배천 온천에서 요양했다. 배천 온천에서 알게 된 기생 금홍을 서울로 불러올려 종로 1가에 다방 '제비'를 개업하면서 동거하였다. 1933년 8월에 결성된 문학 단체 '구인회'의 핵심 동인인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박태원 등과 교류가 시작되었고, 정지용의 주선으로 잡지 《가톨릭청년》에 「꽃나무」, 「[[이런시]]」 등을 국문으로 발표하였다. 1934년 이태준의 도움으로 시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게 되지만 15편을 발표한 후 독자들의 항의와 비난으로 연재를 중단하였다.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되는 동안 '하융(河戎)'이라는 필명으로 작품 속의 삽화를 그렸다. '구인회'의 동인으로 [[김유정]], 김환태 등과 함께 가담하였다. 1935년 금홍과 결별한 후 다방 '제비'도 경영난으로 폐업하였다. 인사동의 카페 '쓰루(鶴)'를 인수하여 운영하다가 실패하였다. 다방 '69'를 개업 양도하고 명동에서 다방 '무기(參)'를 경영하다가 문을 닫은 후 성천, 인천 등지를 유랑하였다.
  
=='''약력'''==
+
==='''동경 유학과 사망'''===
 +
[[구본웅]]이 이상을 모델로 한 초상화 「친구의 초상」을 그렸다. 그 후 구본웅은 그의 부친이 운영하던 인쇄소 창문사(彰文社)에 이상의 일자리를 주선하였다. 1936년 창문사에 근무하면서 구인회 동인지 《시와 소설》의 창간호를 편집 발간하였다. 단편 소설 「[[지주회시]]」, 「[[날개]]」를 발표하면서 평단의 관심을 받자 자기 문학에 새로운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해에 가장 많은 시와 수필을 발표하였다. 연작시 「역단(易斷)」을 발표하였으며 「위독(危篤)」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다. 6월 변동림(구본웅의 계모의 이복동생)과 결혼하여 경성 황금정에서 신혼살림을 차렸다. 같은 해 10월 하순에 새로운 문학 세계를 향하여 일본 동경으로 떠났다. 동경에서는 주로 삼사문학의 동인 신백수, 이시우, 정현웅, 조풍연 등을 자주 만나 문학을 토론하였다. 1937년 사상 혐의([[불령선인]])로 동경 니시간다 경찰서에 피검되어 한 달 정도 조사를 받다가 폐결핵이 악화되어 도쿄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옮겨졌다. 단편 소설 「동해」, 「종생기」를 발표하였다.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 병원에서 28세로 요절하였다. 위독하다는 급보를 듣고 일본으로 건너온 부인 변동림에 의해 유해가 화장된 후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
=='''작품'''==
 +
*소설
 +
**[[12월 12일]](1930)
 +
**지도의 암실(1932.3)
 +
**휴업과 사정(1932.4)
 +
**지팽이 역사(1934)
 +
**[[날개]](1936.9)
 +
**[[지주회시]](1936.2)
 +
**봉별기(1936.12)
 +
**동해(1937)
 +
**종생기(1937)
 +
**환시기(1938.6.유고)
 +
**실화(1939.3.유고)
 +
*시
 +
**이상한 가역반응(1931.7)
 +
**파편의 가치(1931.7)
 +
**▽의 유희(1931.7)
 +
**수염(1931.7)
 +
**BOITEUX - BOITEUSE(1931.7)
 +
**공복(1931.7)
 +
**조감도(1931.8)
 +
**삼차각설계도(1931.10)
 +
**건축무한육면각체(1932.7)
 +
**꽃나무(1933)
 +
**[[이런시]](1933)
 +
**一九三三, 六, 一(1933)
 +
**거울(1933)
 +
**[[오감도]](1934)
 +
**보통기념(1934)
 +
**ㆍ소ㆍ영ㆍ위ㆍ제(1934)
 +
**정식(1935)
 +
**지비(1935)
 +
**역단(1936.2)
 +
**위독(1936.10)
 +
**I WED A TOY BRIDE(1936.10)
 +
**파첩(1937.11.유고)
 +
**무제(1938.10.유고)
 +
**척각(1956.유고)
 +
**거리(1956.유고)
 +
**수인이 만든 소정원(1956.유고)
 +
**육친의 장(1956.유고)
 +
**내과(1956.유고)
 +
**골편에 관한 무제(1956.유고)
 +
**가구의 추위(1956.유고)
 +
**아침(1956.유고)
 +
**최후(1956.유고)
 +
*수필
 +
**혈서삼태(1934)
 +
**산책의 가을(1934)
 +
**문학을 버리고 문화를 상상할 수 없다(1935)
 +
**[[산촌여정]](1935)
 +
**조춘점묘(1936.2)
 +
**서망율도(1936.2)
 +
**여상(1936.2)
 +
**악수(1936.7)
 +
**EPIGRAM(1936.8)
 +
**동생 옥희 보아라(1936.9)
 +
**추등잡필(1936.10)
 +
**19세기식(1937)
 +
**공포의 기록(1937)
 +
**[[권태]](1937)
 +
**슬픈이야기(1937.6.유고)
 +
**문학과 정치(1938.7.유고)
 +
**실낙원(1939.2.유고)
 +
**병상이후(1939.5.동경)
 +
**최저낙원(1939.5.동경)
 +
**동경(1939.5.동경)
 +
*미술
 +
**자상(1931.6)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재 삽화(1934)
 +
*편집
 +
**[[시와 소설]] 창간호(1936)
  
 +
=='''작품 세계'''==
 +
====모더니즘====
 +
이상은 국내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대표작 '[[오감도]]'에서 상처와 불안만 남은 자신, 혼란, 정신 분열 등 자학적인 면모를 문법적 파괴, 언어체계 무시 등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문체로 드러냈다. '오감도'는 연재 당시 독자들의 반발로 연재 중단 되었지만, 시간이 지나 재평가 되었고, 지금도 세련된 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초현실주의====
 +
[[초현실주의]] 역시 '오감도'에서 살펴볼 수 있다. 자학적인 면모로 자아의 정신적 갈등을 심화하고,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세계를 환각적 이미지로 가시화한다. 이상은 주로 부정적인 것들을 이미지로 묘사하려 하였다. 새로운 창조를 위하여 형식을 파괴하고, 작품 안에서 갈등하고 분열한다. 불안한 현실을 표현하기 위해 현실을 넘어선 자아의 내면 세계를 보여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
====심리소설====
 +
이상은 자신의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심리상태를 강조하였다. 입체적 구성으로 인물의 심리를 분석해 자의식의 세계를 추구하였고, 여기서 의식의 흐름 기법이 강조되었다. 대표작인 '[[날개]]'에서 이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회의와 그로부터 탈출하고픈 욕망을 형상화하였는데, 아무런 희망 없는 무기력한 주인공이 좁은 방으로 표현되는 삶으로부터 초월하고자 하는 욕망이 이 소설의 주제를 형성한다. 작품에서 주인공은 하늘로 비상하는 것을 꿈 꾼다. 비상의 욕망이 '날개'로서 상징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은 근대 문인 중 대표적인 [[심리소설]] 작가이다.
  
==='''학력사항'''===
+
=='''기타'''==
  
 +
==='''2차창작'''===
 +
이상의 생애와 작품은 2차 창작되어 공연, 도서, 매체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상(2차 창작)]] 페이지에서 관련 내용을 볼 수 있다.
  
*신명학교
+
==='''[[이상의 집]]'''===
 +
이상이 3살부터 약 20여년 간 머물렀던 집터의 일부이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시민들에게 개방된 공간으로 10시부터 18시까지(점심시간 13시~14시 제외) 자유롭게 드나들며 도서를 자유롭게 읽을 수도 있다. 그곳에 비치된 도서는 모두 이상과 관련된 도서이다. 또한, 이상에게 헌정된 공간인 '이상의 방'이 있다.
  
*동광학교
+
=='''RDF 및 네트워크 그래프'''==
 +
==='''RDF'''===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80%;"
 +
!style="width:25%"|주어(S)!!style="width:25%"|목적어(O)!!style="width:25%"|S는 O를 ~하다
 +
|-
 +
| 김연필 || 이상 || 입양했다
 +
|-
 +
| [[이상]] || [[구본웅]] || 친숙했다
 +
|-
 +
| 이상 || 금홍 || 사랑했다
 +
|-
 +
| 이상 || [[구인회]] || 속했다
 +
|-
 +
| 이상 || 이효석 || 친숙했다
 +
|-
 +
| 이상 || 김유정 || 친숙했다
 +
|-
 +
| 이상 || 구인회 || 속했다
 +
|-
 +
| 김유정 || 구인회 || 속했다
 +
|-
 +
| 이효석 || 구인회 || 속했다
 +
|-
 +
| 김유정 || 이효석 || 친숙했다
 +
|-
 +
| 이상 || 변동림 || 결혼했다
 +
|-
 +
| 이상 || 서울특별시 || 태어났다
 +
|-
 +
| 이상 || 신명학교 || 재학했다
 +
|-
 +
| 이상 || 보성고등보통학교 || 재학했다
 +
|-
 +
| 이상 || 경성고등공업학교 || 재학했다
 +
|-
 +
| 이상 || [[배천온천]] || 요양했다
 +
|-
 +
| 이상 || 다방제비 || 창업했다
 +
|-
 +
| 이상 || [[동경]] || 유학했다
 +
|-
 +
| 이상 || [[동경 니시간다 경찰서]] || 체포됐다
 +
|-
 +
| 이상 || 도쿄대학교 부속병원 || 사망했다
 +
|-
 +
| 이상 || 조선총독부 || 근무했다
 +
|-
 +
| 이상 || 창문사 || 근무했다
 +
|-
 +
| 이상 || [[조선중앙일보]] || 연재했다
 +
|-
 +
| 이상 || 조광 || 연재했다
 +
|-
 +
| 이상 || [[날개]] || 창작했다
 +
|-
 +
| 이상 || 위독 || 창작했다
 +
|-
 +
| 이상 || [[오감도]] || 창작했다
 +
|-
 +
| 이상 || [[권태]] || 창작했다
 +
|-
 +
| 이상 || [[이런시]] || 창작했다
 +
|-
 +
| 이상 || 역단 || 창작했다
 +
|-
 +
| 이상 || [[지주회시]] || 창작했다
 +
|-
 +
| 이상 || 조감도 || 창작했다
 +
|-
 +
| 이상 || 무제 || 창작했다
 +
|-
 +
| 이상 || 이상한가역반응 || 창작했다
 +
|-
 +
| 이상 || [[심리소설]] || 추구했다
 +
|-
 +
| 이상 || 의식의 흐름 || 추구했다
 +
|-
 +
| 이상 || [[모더니즘]] || 추구했다
 +
|-
 +
| 이상 || [[초현실주의]] || 추구했다
 +
|-
 +
|}
  
*1922년 ~ 보성고등보통학교
+
==='''네트워크 그래프'''===
  
*1929년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 건축학
 
  
 +
====이상의 인간관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 />
 +
<iframe width="900" height="600" src="https://hwiki.eumstory.co.kr/work/N/2111199/4222/relationship/relationship.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경력사항'''===
+
====장소와 사건====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 />
 +
<iframe width="900" height="600" src="https://hwiki.eumstory.co.kr/work/N/2111199/4222/place/place.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로 근무
 
  
*1934년 ~ 구인회 활동
+
====이상의 소속====
  
*1936년 ~ 구본웅이 경영하는 창문사에서 시와소설 편집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 />
 +
<iframe width="900" height="600" src="https://hwiki.eumstory.co.kr/work/N/2111199/4222/belong/bel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생애 및 활동사항'''==
+
====작품세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 />
 +
<iframe width="900" height="600" src="https://hwiki.eumstory.co.kr/work/N/2111199/4222/writing/writi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참고자료'''==
 +
===단행본===
 +
「故 이상의 추억」, 김기림, 1937.6, 313쪽 <br/>
 +
「이상 문학의 비밀 13」, 권영민, 민음사, 2012<br/>
 +
「이상 평전」, 김민수, 그린비, 2012<br/>
 +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민음사. 1973<br/>
  
 +
===학술논문===
 +
김종회.(2017). 이상의「날개」와 연구의 방향성. 비평문학, 64, 53-73.<br/>
 +
김준교, 이고은. (2013). 이상 시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의 환각이미지 -오감도 중 ‘시 제11호’와 ‘시 제 13호’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9, 7-16.
  
==='''생애초기'''===
+
=='''기여자'''==
 
+
===4222===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경성부 북부 순화방 반정동 4통 6호에서 부친 김영창(金演昌)과 모친 박세창(朴世昌)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본관은 [[강릉 김씨|강릉]]이다. 제적부에 기재된 본적은 경성부 통동(이후 통인동으로 개칭) 154번지다. 형제로 누이동생 김옥희와 남동생 김윤경이 있다. 김영창은 일본 강점 전 구한말 당시 [[궁내부]] 활판소에서 일하다 손가락이 절단된 뒤 일을 그만두고 집 근처에 이발관을 개업, 가계를 꾸렸다. 1913년, 백부 김연필은 본처 사이에 소생이 없던 차에 조카인 이상을 데려다 친자식처럼 키우고 학업을 도왔다. 1917년 여덟 살 되던 해 누상동의 신명학교에 입학했다. 재학 중, 화가 [[구본웅]]과 동기생이 되어 오랜 친구로 이어졌다. 1921년 신명학교를 졸업한 뒤 [[조선불교중앙교무원]]에서 경영한 동경학교에 입학했다. 1922년 동광학교가 보통학교와 합병되자 [[보성고등학교 (서울)|보성고보]]에 편입했다. 재학 중에 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화가 지망생이 되었으며 학업 서적도 상급 수준에 닿았다. 1925년 교내 미술전람회에서 유화 〈풍경〉이 입선했다. 1926년 3월 보성고보 제4회 졸업생이 되었다. 같은 해 경성 동숭동의 관립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부에 입학했다. 1929년 동 학교 건축과를 수석 졸업했다. 졸업기념 사진첩에 본명 대신 이상(李箱)이라는 별명을 썼는데, 구본웅에게 선물로 받은 화구상자(畵具箱子)에서 연유했다는 증언이 있다. 이때 받은 화구상자가 오얏나무로 만들어진 상자였기 때문에 이상(李箱)은 '오얏나무 상자'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
!이름||학번
 
+
|-
 
+
|[[박수빈]]||2111199
 
+
|-
 
+
|[[이경남]]||2111181
=== '''취직과 등단'''===
+
|-
 
+
|[[장성현]]||2111110
 
+
|-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부를 수석으로 졸업하자 학교의 추천으로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로 발령을 받았다. 이해 11월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 영선계로 자리를 옮겼다. 또한, 조선에 진출한 일본인 건축기술자를 축으로 1922년 3월 결성된 [[조선건축회]]에 정회원으로 가입, 이 학회의 일본어 학회지 《조선과 건축》(朝鮮と建築)의 표지 도안 현상 모집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되었다. 1930년 조선총독부가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일반에게 홍보하기 위해 펴내던 잡지 《조선》 국문판에 2월호부터 12월호까지 9회에 걸쳐 데뷔작이자 유일한 장편소설 《12월 12일》을 필명 이상(李箱) 아래 연재하였다. 1931년 6월,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서양화 〈자상〉이 입선했다. 같은 해 《조선과 건축》에 일본어로 쓴 시 〈이상한가역반응〉 등 20여편을 세 차례에 걸쳐 발표했다. 1932년 《조선과 건축》에 〈[[건축무한육면각체]]〉 제하에 일본어 시 〈AU MAGASIN DE NOUVEAUTES〉, 〈출판법〉 등을 발표했다. 《조선》에 단편소설 〈지도의 암실〉을 비구(比久) 필명으로 발표하고 단편소설 〈휴업과 사정〉을 보산(甫山) 필명으로 잇달아 발표했다. 동년 《조선과 건축》 표지 도안 현상 공모에서 가작 4석으로 입상했다.
+
|[[최민우]]||1791312
 
+
|}
 
 
 
 
 
 
==='''병고'''===
 
 
 
 
 
1931년 이상은 [[결핵|폐결핵]] 감염 사실을 진단받았고 병의 증세는 점차 악화되었다. 1933년 폐결핵으로 직무를 수행키 어렵게 되자 기수직에서 물러앉고 봄에 황해도 배천 온천에서 요양하였다. 이곳에서 알게 된 기생 금홍을 서울로 불러올려 종로 1가에 다방 제비를 개업하며 동거하였다. 같은 해 문학단체 [[구인회 (문학 단체)|구인회]]의 핵심 동인인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박태원]] 등과 교유를 트고 정지용의 주선을 통해 잡지 《가톨닉청년》에 〈꽃나무〉, 〈이런 시〉 등을 국문으로 발표했다. 이듬해 이태준의 도움으로 시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지만, 15편을 발표한 후 너무도 원색성 짙은 성적 표현이 끝내 독자들의 항의와 비난에 시달림으로 힘입어 연재를 중도 작파하였다. 같은 해 동 잡지에서 연재된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아호 하융(河戎) 아래 삽화를 그렸다. 1935년 다방 제비를 경영난으로 폐업하고 금홍과 결별한다. 인사동의 카페 쓰루(鶴)와 다방 69를 개업 양도하고 명동에서 다방 무기[參]를 경영하다 문을 닫은 후 성천, 인천 등지를 표표하였다.
 
 
 
 
 
 
 
 
 
==='''도일과 사망'''===
 
 
 
 
 
1936년 구본웅의 알선으로 창문사에 근무하면서 구인회 동인지 《시와 소설》 창간호를 편집 발간했다. 단편소설 〈지주회시〉, 〈[[날개 (소설)|날개]]〉를 발표하면서 평단의 관심을 받았다. 이해 연작시 〈역단〉을 발표하고 〈위독〉을 《[[조선일보]]》에 연재하며 가장 생산적인 한 해를 보냈다. 6월 [[변동림]]과 결혼, 경성 황금정에서 신혼살림을 차렸다. 10월 하순 새로운 문학 세계를 좇아 도일했다. 동경에서 삼사문학의 동인 신백수, 이시우, 정현웅, 조풍연 등을 자주 만나 문학을 토론했다. 이듬해 단편소설 〈동해〉, 〈종생기〉를 발표했다. 1937년 2월 사상 혐의로 동경 니시간다 경찰서에서 피검된 후 한 달 정도 조사를 받다 폐결핵 악화로 보석으로 출감한 뒤 [[도쿄 대학|동경제국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했다.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28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위독하다는 급보를 듣고 일본으로 건너온 부인 변동림이 유해를 화장하고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하였다. 말년의 이상은 술과 여자를 즐겼다고 한다. 동료 문인이자 친구인 박태원은 이상에 대해서 "그는 그렇게 계집을 사랑하고 술을 사랑하고 벗을 사랑하고 또 문학을 사랑하였으면서도 그것의 절반도 제 몸을 사랑하지는 않았다."면서 "이상의 이번 죽음은 이름을 병사에 빌었을 뿐이지 그 본질에 있어서는 역시 일종의 자살이 아니었든가 - 그러한 의혹이 농후하여진다."고 하기도 했다.
 
 
 
 
 
 
 
 
 
==='''사후'''===
 
 
 
 
 
그를 기려 출판사 문학사상사에서 [[이상문학상]]을 1977년 제정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2008년에는 현대불교신문사와 계간 ‘시와 세계’가 [[이상시문학상]]을 제정해 매년 수상자를 내고 있다. 2010년에는 탄생 100주년을 맞아 생전에 발표한 작품과 사후 발굴된 작품을 포함해 그의 문학적 세계를 재발견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문학적 활동'''==
 
 
 
 
 
 
 
 
 
==='''작품활동'''===
 
 
 
 
 
그의 작품 활동은 1930년 《조선》에 첫 장편소설 〈12월 12일〉을 연재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뒤 1931년 일문시(日文詩) 〈이상한 가역반응〉 · 〈파편의 경치〉 · 〈▽의 유희〉 · 〈공복〉 · 〈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등을 《조선과 건축》에 발표하였다. 이어 1933년 《가톨릭청년》에 시 〈1933년 6월 1일〉 · 〈꽃나무〉 · 〈이런 시(詩)〉 · 〈거울〉 등을, 1934년 《월간매신(月刊每申)》에 〈보통기념〉 · 〈지팽이 역사(轢死)〉를, 《조선중앙일보》에 국문시 〈오감도(烏瞰圖〉 등 다수의 시작품을 발표하였다. 특히 〈오감도〉는 난해시로서 당시 문학계에 큰 충격을 일으켜 독자들의 강력한 항의로 연재를 중단하였던 그의 대표시이다. 시뿐만 아니라 〈날개〉(1936), 〈지주회시〉(1936), 〈동해(童骸)〉(1937) 등의 소설도 발표하였다.
 
 
 
 
 
 
 
 
 
==='''문학세계'''===
 
 
 
 
 
이상은 1930년대를 전후하여 세계를 풍미하던 자의식문학시대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의식문학의 선구자인 동시에 초현실주의적 시인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의 문학에 스며있는 감각의 착란(錯亂), 객관적 우연의 모색 등 비상식적인 세계는 그의 시를 난해한 것으로 성격 짓는 요인으로서 그의 개인적인 기질이나 환경, 그리고 자전적인 체험과 무관한 것은 아니나, 근본적으로는 현실에 대한 그의 비극적이고 지적인 반응에 기인한다. 그리고 그러한 지적반응은 당대의 시적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한국시의 주지적 변화를 대변함과 동시에 현대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그러한 지적 태도는 의식의 내면세계에 대한 새로운 해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무의식의 메커니즘을 시세계에 도입하여 시상의 영토를 확장하게 하였다.
 
 
 
그의 시는 전반적으로 억압된 의식과 욕구좌절의 현실에서 새로운 대상(代償) 세계에로의 탈출을 시도하는 초현실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풍기고 있다. 정신을 논리적 사고과정에서 해방시키고자 함으로써 그의 문학에서는 무력한 자아가 주요한 주제로 나타나게 된다. 시 〈거울〉이나 소설 〈날개〉 등은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대표적 작품이다.
 
 
 
또한, 시 〈오감도〉는 육체적 정력의 과잉, 말하자면 발산되어야 하면서도 발산되지 못한 채 억압된 리비도(libido)의 발작으로 인한 자의식과잉을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대상을 정면으로 다루지 못하고 역설적으로 파악하는 시적 현실이 잘 드러나 있다. 바로 이 같은 역설에서 비롯되는 언어적 유희는 그의 인식태도를 반영하고 있는 동시에 독특한 시각방법이 되고 있다. 그리하여 억압받은 성년의 욕구가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원고향인 유년시대로 퇴행함으로써 욕구충족을 위한 자기방어의 메커니즘을 마련하였고, 유희로서의 시작(詩作)은 그러한 욕구충족의 한 표현이 되는 것이다. 그만큼 그는 인간모순을 언어적 유희와 역설로 표현함으로써 시적구제(詩的救濟)를 꾀한 시인이었다.
 
 
 
기타 시 작품으로 〈소영위제(素榮爲題)〉(1934), 〈정식(正式)〉(1935), 〈명경(明鏡)〉(1936) 등과, 소설 〈봉별기(逢別記)〉(1936), 〈종생기(終生記)〉(1937), 수필 〈권태(倦怠)〉(1937), 〈산촌여정(山村餘情)〉(1935) 등이 있다. 유저로 이상의 시 · 산문 · 소설을 총정리한 《이상전집》 3권이 1966년에 간행되었다.
 
 
 
 
 
 
 
 
 
===''' 작품에 대한 평가'''===
 
 
 
 
 
이상은 작품 내에서 문법을 무시하거나 수학 기호를 포함하는 등 기존의 문학적 체계를 무시한 새롭고 실험적인 시도를 하였다. 이는 한국어 문학에서 이전에 시도된 적이 거의 없던 것이며, 이로 인해 그의 작품들은 발표 직후부터 현대까지 문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고 평가된다. 또한 그의 작품은 줄거리의 전개방식이 명확한 경우가 많지 않고 소설의 전개는 극단적으로 주인공의 내면에만 치중되어 있는 자폐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인공 역시 사회로부터 소외되어 자신의 흥미나 형이상학적 의미에만 집착하는 성향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작가 이상 스스로에 대한 묘사라고도 분석된다.
 
 
 
문법파괴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특유의 서술방식은 주인공의 비문법적인, 즉 무의식적인 내면을 잘 드러내며, 기존 문학에 대한 반감 또는 무시를 의미하는 동시에, 서술의 대상을 없애고 언어 자체에만 비중을 둔다.
 
 
 
일부 주장에 따르면, 이상은 언어유희를 이용하여 [[조선총독부]]에서 직접 발간하는 종합전문 월간지에 큰 글씨로 12, 12라는 제목의 소설을 연재하는 방식으로 일제에 대한 저항을 표현했다.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관리들은 12, 12를 단순히 숫자로만 이해했고 한글 발음으로 했을 때 욕설이 된다는 점을 눈치채지 못했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상이 그들을 골탕먹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이상이 일제에 대한 큰 반감이나 독립운동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 적은 없었다는 점에서 부정되기도 한다. 한편, 시 오감도의 "13人의 兒孩가…"나 이상이 ‘제비’ 다방 다음으로 개업하려고 간판을 붙였다가 그 의미가 탄로나 허가 취소된 '69 다방', 남녀의 [[성교]]를 상징하는 33과 23(二十三, 다리 둘과 다리 셋의 합침) 및 且8(한글로 차팔 또는 조팔이라 읽음. 발기한 남성 성기 또는 18과 대칭을 나타냄) 등의 표현 역시 성적인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저서(작품)'''==
 
 
 
 
 
 
 
 
 
==='''날개'''===
 
 
 
 
 
단편. 1936년 《조광(朝光)》에 발표. 첫사랑 금홍(錦紅)과의 2년 여에 걸친 동거생활 속에서 얻어진 작품이라고 한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 나와 아내는 각각 다른 의식의 분열된 내면세계를 그대로 표백하고 있다. 분열된 두 의식세계가 결합될 수도, 분열된 채로 나아갈 수도 없는 비극과 고뇌를 담고 있다.
 
 
 
주인공인 나는 일상적 상식의 세계를 떠나 그날그날을 그저 까닭없이 의욕도 없이 방 속에서만 뒹굴며 지낸다. 그는 심심하여 아내가 외출하고 난 후면 아내의 방에 가서 화장품 냄새를 맡고 돋보기로 화장지를 태우며 아내의 체취를 맡는다. 무기력하기만 한 나는 이렇게 함으로써 아내와 만남을 가질 수 있고, 결국은 이것이 육체적인 쾌락을 맛보게 하는 결과를 자아낸다. 이로써 아내는 자기의 직업(돈을 벌기 위한 손님과의 매음행위)에 대한 불편을 느끼게 되고 나를 그 "볕 안드는 방"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아스피린 대신 수면제를 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시 모순에 봉착한 나는 "서서히 아내에 관하여 연구할 작정이다" "아스피린과 아달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나를 밤이나 낮이나 재워놓고, 그리고 아내는 내가 자는 동안에 무슨 짓을 했나?" 하고 산속의 정적 가운데서 이것저것을 생각해 본다.
 
 
 
이 현실세계의 재비판과 자신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나는 현실에의 "재생(再生)"의 욕망으로 불타게 된다. 이 욕망이란 곧 현실세계에 다시 섞여 걸어가는 것을 의미하며, "날개"는 곧 이 욕망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는 걷던 걸음을 멈추고, 그리고 어디 한번 이렇게 외쳐보고 싶었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번만 날자꾸나. 한번만 더 날아 보자꾸나."고 절규함으로써 이 작품은 새로운 탄생의 순간을 말하고 있다.
 
 
 
 
 
 
 
 
 
==='''오감도(烏瞰圖)'''===
 
 
 
 
 
연작시(連作詩). 1934년 7월 24일부터 8월 8일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 이 작품이 발표되자 독자들은 '무슨 개수작이냐'며 항의 투서가 수십 장씩 날아들었다고 한다. 그만큼 파격적인 작품으로, 종래의 시의 고정관념을 크게 무너뜨린 작품이기도 했다.
 
 
 
〈오감도〉 제1호에 등장하는 〈13인의 아해〉는 최후의 만찬에 합석한 예수의 13제자를 상징한다는 풀이도 있고, 무수(無數)를 표시하여 '13'으로 했다는 설명이 있으나 평자에 따라서는 얼마든지 다른 견해를 낳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떻든 이 작품이 이성(理性)의 몰락에 의하여 파탄을 입은 객체인 현실의 부조리, 그 혼란과 모순을 언어의 도면으로 보여준 작품이라는 점에서는 이의가 없을 것 같다.
 
 
 
작품의 구체적 의미파악이 불가능한 반면, 관습이나 합리성을 무시하고 비합리적 용어를 애써 사용했다는 점을 형식상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겠다. 작품의 전체적 인상에서 풍기는 불안감 · 공포감 · 혼란감 등이 읽는 이에게 막연하게 전달될 뿐이다.
 
 
 
거울
 
 
 
시. 난해를 극한 시작품의 대부분이 반이성(反理性)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데 반하여 작품 〈거울〉은 상당히 이색적이다. 상식과 이성의 세계에서 독특한 화술의 기교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것이오//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있소//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요//내악수를받을줄모르는악수를모르는왼손잡이요//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못하는구료마는/거울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져보기만이라도했겠소//나는지금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늘거울속의내가있소/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에골몰할께요//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요마는/또꽤닮았소/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작품 〈거울〉의 전편인데 결국은 거울을 통하여 보는 그의 자화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의 대부분은 거울에 비친 자기의 실물과는 반대되는 한 측면을 재치있는 화술로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의 주된 의미는 제10행의 "잘은 모르지만 외로 된 사업에 골몰할께요"와 최종 행의 표현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은 모순된 현실에 대한 자기의 무능을 자기도 바라만 보고 어쩔 수 없음을 자의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봉별기(逢別記)'''===
 
 
 
 
 
단편. 〈날개〉와 함께 기생 금홍과의 생활에서 얻어진 작품. 그러나 〈날개〉가 '나'와 '아내'의 자의식의 갈등을 그린 것이라면 이 〈봉별기〉는 금홍과 만나고 헤어짐을 차분하게 서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작품에 나오는 금홍은 지극히 일상적이고 상식성에 지배된 인간이어서 수시로 거짓말을 하고 간음을 하고 출분(出奔)을 한다. 그러나 이 부정하고 불성실한 금홍을 나는 너그럽고 따뜻한 관용의 태도로 맞는 것이다.
 
 
 
"금홍이의 모양은 뜻밖에도 초췌하여 보이는 것이 참 슬펐다. 나는 꾸짖지 않고 맥주와 붕어과자와 장국밥을 사먹여가면서 금홍이를 위로해 주었다." 이렇게 금홍을 측은하게 보는 나는 일단 헤어진 금홍이가 다시 돌아올 때에도 너그럽게 맞아 준다. "금홍이는 역시 초췌하다. 생활 전선에서의 피로의 빛이 그 얼굴에 여실하였다"라면서 아내의 고독과 피로를 이해한다. 혐오할 만한 존재인 금홍, 그러나 나는 그 존재를 차분하고 정답게 대해주는 것이다.
 
  
출분한 금홍이가 돌아오자 두 사람은 깊은 밤에 술을 마신다. 금홍은 육자배기를 부르고 나는 영변가(寧邊歌)를 한마디 한다. 구슬프면서 괴로운 대좌다. 삶이라는 어찌할 수 없는 숙명 앞에서 떠는 약하디 약한 두 모습이다. 이 작품에서의 따뜻함과 차분함은 그렇다고 간음한 아내를 용서하는 관용은 아니다. 나와 전연 별개로 구분되는 금홍에 대한 동정과 유화(宥和)의 상태, 이해(理解)의 상태로 보아야 할 것이다.
+
[[분류:이상]] [[분류:1910년 출생]] [[분류:1937년 사망]] [[분류:일제강점기]] [[분류:작가]] [[분류:시인]][[분류:소설가]][[분류:수필가]][[분류:건축가]][[분류:서울 출생]]

2022년 6월 16일 (목) 00:00 기준 최신판


개요

이상(李箱, 1910년 9월 23일 ~ 1937년 4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로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가이다. 1930년대 한국 자의식 문학의 선구자로, 그의 작품에서는 근대적 도시풍경과 지식인의 내면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대표 작품은 『오감도』와 『날개』가 있다.

생애

출생 및 성장과정

이상(李箱)은 1910년 9월 23일 경성부 북부 순화방 반정동 4통 6호에서 부친 김영창(金永昌)과 모친 박세창(朴世昌)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부친 김영창은 일본 강점 이전 구한말 궁내부 활판소에서 일하다가 사고로 손가락이 절단된 뒤 일을 중단하고 집 근처에 이발관을 개업하여 가계를 꾸려 갔다. 형제로는 누이동생 김옥희와 남동생 김운경이 있다. 1913년 이상은 백부 김연필의 집으로 옮겨 그곳에서 성장했다. 백부 김연필은 본처와의 사이에 소생이 없어서 조카인 이상을 데려다가 친자식처럼 키우고 그 학업을 도왔다. 1917년 이상이 8세가 되던 해에 신명학교에 입학하였다. 신명학교 재학 중에 구본웅과 동기생이 되어 오랜 친구로 지냈다. 1921년 신명학교를 졸업한 후 조선불교중앙교무원에서 운영하는 동광학교에 입학하였다. 1922년 동광학교가 보성고등보통학교와 합병되자 보성고보에 편입하였다. 보성고보에 다니면서 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화가 지망생이 되었다. 1926년 보성고보 4회 졸업생이 되고,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에 입학하였다. 1928년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면서 졸업 사진에 본명 대신 이상(李箱)이란 별명을 썼다.

취직 및 등단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자 학교의 추천으로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수로 발령을 받았다. 이해 11월에는 조선총독부 관방회계과 영선계로 자리를 옮겼다. 조선에 진출해 있는 일본인 건축 기술자 중심의 조선건축회에 가입했고, 이 학회의 일본어 학회지 《조선과 건축》의 표지 도안 현상 모집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의 식민지 정책을 일반에게 홍보하기 위해 발간하던 잡지 《조선》의 국문판에 1930년 2월호부터 12월호까지 9회에 걸쳐 유일한 장편 소설인 12월 12일(十二月十二日)」을 이상(李箱)'이란 필명으로 연재하였다. 1931년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서양화 「자상(自像)」이 입선하였다. 《조선과 건축》에 일본어로 쓴 시 「이상한 가역반응」 등 20여 편을 세 차례에 걸쳐 발표하였다. 1932년 《조선과 건축》에 「건축무한육면각체」라는 제목으로 일본어 시 「AU MAGASIN DE NOUVEAUTES」, 「출판법」 등을 발표하였다. 《조선》에 단편 소설 「지도의 암실」을 비구(比久)'라는 필명으로 발표하고, 단편 소설 「휴업과 사정」을 '보산(甫山)'이라는 필명으로 잇달아 발표하였다. 《조선과 건축》의 표지 도안 현상 공모에서 가작 4석으로 입상하였다.

병고와 구인회

1931년 폐결핵 감염 사실을 진단받았다. 1933년 폐결핵으로 인해 직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자 조선총독부 기수직을 사직하고 봄에 황해도 배천 온천에서 요양했다. 배천 온천에서 알게 된 기생 금홍을 서울로 불러올려 종로 1가에 다방 '제비'를 개업하면서 동거하였다. 1933년 8월에 결성된 문학 단체 '구인회'의 핵심 동인인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박태원 등과 교류가 시작되었고, 정지용의 주선으로 잡지 《가톨릭청년》에 「꽃나무」, 「이런시」 등을 국문으로 발표하였다. 1934년 이태준의 도움으로 시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게 되지만 15편을 발표한 후 독자들의 항의와 비난으로 연재를 중단하였다. 박태원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되는 동안 '하융(河戎)'이라는 필명으로 작품 속의 삽화를 그렸다. '구인회'의 동인으로 김유정, 김환태 등과 함께 가담하였다. 1935년 금홍과 결별한 후 다방 '제비'도 경영난으로 폐업하였다. 인사동의 카페 '쓰루(鶴)'를 인수하여 운영하다가 실패하였다. 다방 '69'를 개업 양도하고 명동에서 다방 '무기(參)'를 경영하다가 문을 닫은 후 성천, 인천 등지를 유랑하였다.

동경 유학과 사망

구본웅이 이상을 모델로 한 초상화 「친구의 초상」을 그렸다. 그 후 구본웅은 그의 부친이 운영하던 인쇄소 창문사(彰文社)에 이상의 일자리를 주선하였다. 1936년 창문사에 근무하면서 구인회 동인지 《시와 소설》의 창간호를 편집 발간하였다. 단편 소설 「지주회시」, 「날개」를 발표하면서 평단의 관심을 받자 자기 문학에 새로운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해에 가장 많은 시와 수필을 발표하였다. 연작시 「역단(易斷)」을 발표하였으며 「위독(危篤)」을 《조선일보》에 연재하였다. 6월 변동림(구본웅의 계모의 이복동생)과 결혼하여 경성 황금정에서 신혼살림을 차렸다. 같은 해 10월 하순에 새로운 문학 세계를 향하여 일본 동경으로 떠났다. 동경에서는 주로 삼사문학의 동인 신백수, 이시우, 정현웅, 조풍연 등을 자주 만나 문학을 토론하였다. 1937년 사상 혐의(불령선인)로 동경 니시간다 경찰서에 피검되어 한 달 정도 조사를 받다가 폐결핵이 악화되어 도쿄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옮겨졌다. 단편 소설 「동해」, 「종생기」를 발표하였다.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 병원에서 28세로 요절하였다. 위독하다는 급보를 듣고 일본으로 건너온 부인 변동림에 의해 유해가 화장된 후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작품

  • 소설
    • 12월 12일(1930)
    • 지도의 암실(1932.3)
    • 휴업과 사정(1932.4)
    • 지팽이 역사(1934)
    • 날개(1936.9)
    • 지주회시(1936.2)
    • 봉별기(1936.12)
    • 동해(1937)
    • 종생기(1937)
    • 환시기(1938.6.유고)
    • 실화(1939.3.유고)
    • 이상한 가역반응(1931.7)
    • 파편의 가치(1931.7)
    • ▽의 유희(1931.7)
    • 수염(1931.7)
    • BOITEUX - BOITEUSE(1931.7)
    • 공복(1931.7)
    • 조감도(1931.8)
    • 삼차각설계도(1931.10)
    • 건축무한육면각체(1932.7)
    • 꽃나무(1933)
    • 이런시(1933)
    • 一九三三, 六, 一(1933)
    • 거울(1933)
    • 오감도(1934)
    • 보통기념(1934)
    • ㆍ소ㆍ영ㆍ위ㆍ제(1934)
    • 정식(1935)
    • 지비(1935)
    • 역단(1936.2)
    • 위독(1936.10)
    • I WED A TOY BRIDE(1936.10)
    • 파첩(1937.11.유고)
    • 무제(1938.10.유고)
    • 척각(1956.유고)
    • 거리(1956.유고)
    • 수인이 만든 소정원(1956.유고)
    • 육친의 장(1956.유고)
    • 내과(1956.유고)
    • 골편에 관한 무제(1956.유고)
    • 가구의 추위(1956.유고)
    • 아침(1956.유고)
    • 최후(1956.유고)
  • 수필
    • 혈서삼태(1934)
    • 산책의 가을(1934)
    • 문학을 버리고 문화를 상상할 수 없다(1935)
    • 산촌여정(1935)
    • 조춘점묘(1936.2)
    • 서망율도(1936.2)
    • 여상(1936.2)
    • 악수(1936.7)
    • EPIGRAM(1936.8)
    • 동생 옥희 보아라(1936.9)
    • 추등잡필(1936.10)
    • 19세기식(1937)
    • 공포의 기록(1937)
    • 권태(1937)
    • 슬픈이야기(1937.6.유고)
    • 문학과 정치(1938.7.유고)
    • 실낙원(1939.2.유고)
    • 병상이후(1939.5.동경)
    • 최저낙원(1939.5.동경)
    • 동경(1939.5.동경)
  • 미술
    • 자상(1931.6)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재 삽화(1934)
  • 편집

작품 세계

모더니즘

이상은 국내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대표작 '오감도'에서 상처와 불안만 남은 자신, 혼란, 정신 분열 등 자학적인 면모를 문법적 파괴, 언어체계 무시 등과 같은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문체로 드러냈다. '오감도'는 연재 당시 독자들의 반발로 연재 중단 되었지만, 시간이 지나 재평가 되었고, 지금도 세련된 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초현실주의

초현실주의 역시 '오감도'에서 살펴볼 수 있다. 자학적인 면모로 자아의 정신적 갈등을 심화하고, 보이지 않는 무의식의 세계를 환각적 이미지로 가시화한다. 이상은 주로 부정적인 것들을 이미지로 묘사하려 하였다. 새로운 창조를 위하여 형식을 파괴하고, 작품 안에서 갈등하고 분열한다. 불안한 현실을 표현하기 위해 현실을 넘어선 자아의 내면 세계를 보여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심리소설

이상은 자신의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심리상태를 강조하였다. 입체적 구성으로 인물의 심리를 분석해 자의식의 세계를 추구하였고, 여기서 의식의 흐름 기법이 강조되었다. 대표작인 '날개'에서 이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회의와 그로부터 탈출하고픈 욕망을 형상화하였는데, 아무런 희망 없는 무기력한 주인공이 좁은 방으로 표현되는 삶으로부터 초월하고자 하는 욕망이 이 소설의 주제를 형성한다. 작품에서 주인공은 하늘로 비상하는 것을 꿈 꾼다. 비상의 욕망이 '날개'로서 상징되고 있는 것이다. 이상은 근대 문인 중 대표적인 심리소설 작가이다.

기타

2차창작

이상의 생애와 작품은 2차 창작되어 공연, 도서, 매체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상(2차 창작) 페이지에서 관련 내용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집

이상이 3살부터 약 20여년 간 머물렀던 집터의 일부이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시민들에게 개방된 공간으로 10시부터 18시까지(점심시간 13시~14시 제외) 자유롭게 드나들며 도서를 자유롭게 읽을 수도 있다. 그곳에 비치된 도서는 모두 이상과 관련된 도서이다. 또한, 이상에게 헌정된 공간인 '이상의 방'이 있다.

RDF 및 네트워크 그래프

RDF

주어(S) 목적어(O) S는 O를 ~하다
김연필 이상 입양했다
이상 구본웅 친숙했다
이상 금홍 사랑했다
이상 구인회 속했다
이상 이효석 친숙했다
이상 김유정 친숙했다
이상 구인회 속했다
김유정 구인회 속했다
이효석 구인회 속했다
김유정 이효석 친숙했다
이상 변동림 결혼했다
이상 서울특별시 태어났다
이상 신명학교 재학했다
이상 보성고등보통학교 재학했다
이상 경성고등공업학교 재학했다
이상 배천온천 요양했다
이상 다방제비 창업했다
이상 동경 유학했다
이상 동경 니시간다 경찰서 체포됐다
이상 도쿄대학교 부속병원 사망했다
이상 조선총독부 근무했다
이상 창문사 근무했다
이상 조선중앙일보 연재했다
이상 조광 연재했다
이상 날개 창작했다
이상 위독 창작했다
이상 오감도 창작했다
이상 권태 창작했다
이상 이런시 창작했다
이상 역단 창작했다
이상 지주회시 창작했다
이상 조감도 창작했다
이상 무제 창작했다
이상 이상한가역반응 창작했다
이상 심리소설 추구했다
이상 의식의 흐름 추구했다
이상 모더니즘 추구했다
이상 초현실주의 추구했다

네트워크 그래프

이상의 인간관계


장소와 사건


이상의 소속

작품세계

참고자료

단행본

「故 이상의 추억」, 김기림, 1937.6, 313쪽 
「이상 문학의 비밀 13」, 권영민, 민음사, 2012
「이상 평전」, 김민수, 그린비, 2012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민음사. 1973

학술논문

김종회.(2017). 이상의「날개」와 연구의 방향성. 비평문학, 64, 53-73.
김준교, 이고은. (2013). 이상 시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표현의 환각이미지 -오감도 중 ‘시 제11호’와 ‘시 제 13호’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9, 7-16.

기여자

4222

이름 학번
박수빈 2111199
이경남 2111181
장성현 2111110
최민우 179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