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석)
(등장인물)
83번째 줄: 83번째 줄:
 
=='''등장인물'''==
 
=='''등장인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객주의 인물 관계표
+
|+ 홍어의 인물 관계표
 
|+ style="caption-side:bottom;text-align:left,"|
 
|+ style="caption-side:bottom;text-align:left,"|
! 인물||선하다or악하다||주인공 과의 관계
+
! 인물||||주인공 과의 관계
 
|-
 
|-
 
|[[천봉삼]]||선하다||주인공 본인
 
|[[천봉삼]]||선하다||주인공 본인
104번째 줄: 104번째 줄:
 
|}
 
|}
  
===[[천봉삼]]===
 
이야기의 주인공으로서 뛰어난 풍채와 미모를 겸비하고 있는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B%B6%80%EC%83%81 보부상]이다. [[천봉삼]]은 자신을 도와주고 보살펴주었던 [[조성준]]을 존중하는 등의 충성심을 보인다. [[천봉삼]]은 [신석주]의 수하가 되어 그 덕택으로 송만치가 거느리던 송파 왈짜패들의 행수가 되었다. 왈짜패들이 군말없이 [[천봉삼]]을 행수로 받아들일만큼 완력도 수준급이었다. 하지만, 강직한 성격으로 인하여 위기가 찾아왔을 때에는 임기응변에 미숙하며, 무모한 정면돌파로 인해 고생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뛰어난 미모덕분에 여인들에게 항상 사랑을 받고,  [[조 소사]], [[매월이]], [[월이]]는 첫 만남부터 [[천봉삼]]에게 반하여 그를 항상 사모한다.
 
  
===[[천소례]]===
 
[[천봉삼]]의 누이로, 워낙 힘든 일을 많이 겪다보니 나쁜일도 서슴지 않지만 자신의 행동을 한스러워한다. 동생 [[천봉삼]]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 하였다. 처음 시집갔던 몰락한 양반 집을 다시 일으켜 세울 정도로 능력이 뛰어나며, 자신을 첩으로 받아준 [[김학준]]이 납치당하자 그를 구해내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면모에서 지혜로움을 느낄수 있다. 하지만, [[김학준]]이 일어나지 못하자 그의 숨통을 직접 끊어버리는 악행을 저지르는 잔인함을 보여준다. [[김학준]]과 적대관계였던 [[천봉삼]]은 [[김학준]]의 첩이자, 자신의 누이였던 [[천소례]]를 잡게된다.([[천소례]]는 [[천봉삼]]의 존재를 알지만, [[천봉삼]]은 [[김학준]]의 첩이 [[천소례]]인 것을 모른다.) [[천소례]]는 자루에 담겨 있기 때문에 [[천봉삼]]은 누이를 알아보지 못한다. 평소 [[천소례]]가 악덕하다 하여 [[천봉삼]] 패거리가 그녀를 물에 빠뜨린다. [[천봉삼]]은 그녀가 누이인 것을 알고는 죽었을 것이라며 자책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는 구사일생으로 살게 되고 여태까지 잘못을 용서받으며 [[천봉삼]]의 곁에서 그를 보살피고 챙겨준다.
 
 
===[[매월이]]===
 
막집 주모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B%85%80 무녀]가 된 여인. 주모였을 때, [[매월이]]는 왈짜패에게 변을 당해 심각한 부상을 당한 [[천봉삼]]을 구해주고, [[천봉삼]]과 관계를 맺는다. [[천봉삼]]을 사모하는 그녀는 자신과 함께 떠나 살자고 하지만, [[천봉삼]]은 그녀를 당차게 떠난다. [[매월이]]는 [[천봉삼]]을 그리워 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몇 가지 곡절을 겪은 이후 [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B%85%80무녀]가 된다. 그녀는 잘나가는 무녀엿기 때문에 소문이 자자했는데, [https://ko.wikipedia.org/wiki/%EC%9E%84%EC%98%A4%EA%B5%B0%EB%9E%80 임오군란]이 일어나 피신해있던 [https://ko.wikipedia.org/wiki/%EB%AA%85%EC%84%B1%EC%99%95%ED%9B%84 명성황후]가 [[매월이]]를 부르게 된다. [[매월이]]는 그녀가 [https://ko.wikipedia.org/wiki/%EB%AA%85%EC%84%B1%EC%99%95%ED%9B%84 명성황후]라는 것을 단번에 알아차리고, 곧 환궁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는 그녀를 안심시킨다. [[매월이]]가 말한대로 환궁을 하게 된 [https://ko.wikipedia.org/wiki/%EB%AA%85%EC%84%B1%EC%99%95%ED%9B%84 명성황후]는 그녀를 신뢰하게 되고 그녀를 진령군으로 봉하게 된다. [[매월이]]는 자신의 권력을 이용하여 자신을 떠난 [[천봉삼]]을 괴롭히게 되는데 [[천소례]]의 지혜에 감탄하고는 그녀에게 매료되어 [[천봉삼]]을 용서하게 된다. 그 후로 [[매월이]]는 [[천봉삼]]을 꾸준히 돕게된다.
 
 
===[[월이]]===
 
「객주」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여성이다. [[매월이]]와, [[천소례]]는 악덕을 쌓은 적이 있지만, [[월이]]는 악덕을 전혀 쌓지 않는다. [https://ko.wikipedia.org/wiki/%EB%B0%B1%EC%A0%95 백정]의 여식으로 [[조 소사]]의 하녀였지만, 신석주의 도움으로 면천하게 되고 [[천봉삼]]과 혼인하게 된다.
 
 
===[[조성준]]===
 
[[조성준]]은 [[천봉삼]]의 조력자이다. [[김학준]]에 의해 재산을 모두 잃게 되어 그에게 복수를 다짐한다. 후에는 거상이 된 [[천봉삼]]이 그를 데려와 행수로 삼고, 자신의 누이인 [[천소례]]와 혼인시키기까지 한다. 결국 [[천봉삼]]에게 보부상이란 무엇인지를 알려준 스승이었다가 이후에는 [[천봉삼]]의 든든한 동반자이자 조력자가 되는 인물이다.
 
  
 
===천봉삼과 대립하는 인물들===
 
===천봉삼과 대립하는 인물들===

2020년 6월 15일 (월) 17:39 판


'홍어'

작가

김주영

장르

장편소설

주인공

13세 소년, 세영

  • 홍어속 인물들

홍어인물.png

발행

1997년 김주영이 문학 계간지 『작가세계』에 발표
그후, 1998년 문이당에서 발행

수상

1998년 제6회 대산문학상 수상

배경

시대적 배경: 1950년대 산골마을
공간적 배경: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진안리 산골마을

지도를 불러오는 중...

줄거리

폭설로 고립된 산골마을, 주인공 세영은 열세 살의 소년으로 외도를 한 아버지를 기다리며 어머니와 단 둘이 살고있다.
삯바느질꾼인 어머니아버지가 좋아하는 홍어를 부엌에 매달아두지만, 아버지는 돌아오지 않는다.
세영어머니가 만들어주신 가오리연을 날리면서 자신도 자유롭게 비상하는 꿈에 젖어든다.
집 밖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때문이다.
어느날, 문뜩 열입곱 소녀 삼례세영의 집에 찾아오면서 같이 살게 된다.
삼례세영의 집을 떠나 결혼을 하게 되고 남편에게서 도망쳐 선술집에서 일하게 된다.
세영어머니아버지를 찾으려고 모아둔 돈을 모두 삼례에게 주며 술집을 나가라고 한다.
이로써, 어머니아버지에 대한 미련을 모두 버리게 된다.
어느날, 아버지가 집에 돌아오게 되고 어머니는 집을 나가게 되는데, 과연 그녀는 어디로 갓 것일까?

해석

모자가 살고 있는 마을에 폭설이 내리고 그들은 고립된다.
홍어는 집을 나간 아버지을 기다리며 일어나는 일들을 보여주는 성장소설이다.
삼례의 등장은, 어머니로 하여금 많은 것을 변화시킨다.
그저 강직한 어머니인줄 알았는데, 그녀 또한 여성이었다.
어머니삼례를보며 자신의 욕망이 아버지를 찾는 것이 아니라, 삼례가 되고 싶은 것을 변화한다.
결국 아버지가 돌아오게 될 때, 어머니는 집을 나가게 된다. 삼례가 자유로히 집을 나간 것 처럼.
이렇듯, 홍어는 전통적인 모성을 추억하는 것처럼 말하다가 후반부에 이르러서 어머니삼례의 분신으로 반전시킴으로써 독자의 허를 찌른다.
홍어는 타락한 그 당시의 아버지를 비판하며, 어머니세영의 갈등, 이를 바라보는 세영의 시선을 통해 여성이 억압되는 사회를 적나라하게 비판하고 있다.
결국 홍어아버지의 분신이며, 부엌에서 말리고 있기 때문에 생명력이 없다. 아버지란 존재함에 있어서 그 역할이 유지되는 것이 아니고, 아버지 노릇을 했을 때 그 역할이 유지된다고 김주영은 말하고 있다.
홍어는 작가 김주영의 어린시절을 대변하는 소설이고, 그 또한 아버지가 집을 나가 배고프고 힘든 시절을 격었다.
홍어김주영의 삶이 투영되어 있고, 자신의 힘들었던 과거를 홍어를 통해 토로하고 있는 것이다.

등장인물

홍어의 인물 관계표
인물 주인공 과의 관계
천봉삼 선하다 주인공 본인
천소례 악에서 선 누이
매월이 악에서 선 천봉삼을 사모
월이 선하다 천봉삼의 처
조성준 선하다 천봉삼의 동료
조 소사 평범 천봉삼을 사모
김학준 악하다 조성준&천봉삼의 원수
신석주 악하다 조선 최대의 거상&천봉삼의 행수


천봉삼과 대립하는 인물들

2차저작물

홍어(EBS,문학산책)

홍어(Tv문학관)

Tv문학관홍어.png
2001년 KBS에서 방영

객주 관련 기사&비평&연구

관련 기사

「김주영 장편소설「홍어」, 대경일보, 김재광기자, 2014년
「김주영 소설 ‘홍어’ 불가리아서 출간」,경향신문, 2006년

관련 비평

「민중 중심 역사관을 바로세우다」 경북매일, 문화평론가 이경재, 2020년

관련 연구

김주영 『객주』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Kiss,박은정,2017년
소설의 만화 변용 양상 연구 : 김주영의 『객주』와 이두호의 『객주』를 중심으로,NOSL, 이창훈, 2010년

RDF & 온톨로지

Relation Domain(A) Range(B) 설명
집필하다 김주영 객주 [A]는 [B]를 집필했다.
발행했다 객주 창작과 비평사 [A]은 [B]가 발행했다.
완간되다 객주 2013년 [A]은 [B]에 완간되었다.
묘사하다 객주 보부상 [A]는 [B]을 묘사했다.
되다 객주 만화화 [A]는 [B] 되었다.
되다 객주 드라마화 [A]는 [B] 되었다.
주인공이다 천봉삼 객주 [A]은 [B]의 주인공이다.
직업이다 천봉삼 보부상 [A]는 [B]이 직업이다.
좋아하다 월이 천봉삼 [A]는 [B]를 좋아한다.
좋아하다 매월이 천봉삼 [A]는 [B]를 좋아한다.

객주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