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민족을 구성하고 통합하며 민족 단위의 국가 형성을 위한 정치사상


기원

민족주의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과 주장이 있기에 한 가지로 정리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대체적으로 영국 기원론, 프랑스 기원론과 함께 최근에는 아메리카 식민지의 크레올(Creole)로부터 출발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홉스봄(Eric J. Hobsbawm)은 19세기 말 이후 시민권 확산 등과 같은 동질화 프로그램이 가동되면서 민족주의가 확산되었다고 주장하며

앤더슨(Benedict Anderson)은 18세기 남미 크레올에 의해 민족됨에 대한 감각이 발달하기 시작한 반면 유럽은 19세기 들어와서야 민족주의가 전파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한다.

한국과 민족주의

한국에 민족과 민족주의가 수용되는 시기는 대체적으로 20세기 초반으로 여겨진다. 초창기에는 ‘nation’과 민족이 서로 대칭되지 않는 등 일정한 혼란이 있었지만 1910년대 이후로 ‘nation’의 번역어로 민족이 고정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은 중국일본에서 ‘nation’과 ‘nationalism’을 번역한 것인 바 당시 한국 사회에서도 그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본격적인 민족주의가 나타난 것은 식민화 경험을 통해서였다. 특히 1919년 3·1운동은 한국 민족주의의 획기적 계기가 되었는데, 3·1운동을 통해 비로소 전 주민 집단이 동등하고 단일한 민족 구성원으로 재현될 수 있는 역사적 경험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일본 제국주의라는 이민족 지배자를 타자로 상정하고 그에 대립되는 주체로서 단일한 민족집단을 상상할 수 있게 된 것이다.


3·1운동 이후 한국의 민족주의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일제시기 한국에서 운동으로서의 민족주의는 크게 보수적 우파와 좌파 사회주의 계열로 구분된다.


보수적 우파는 주로 국내에서 단계론적 관점에서 계몽운동, 실력양성운동에 치중하였다.

좌파 사회주의 계열은 노동자·농민에 기반한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 전위당 건설과 대중운동, 그리고 무장투쟁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한편 해외에서도 다양한 민족주의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1919년 수립된 임시정부는 대표적 사례였다. 임시정부는 한국 역사상 최초로 근대적 공화국 형태를 취했으며 다양한 정치세력의 이합집산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사회주의 계열은 전위당 건설과 대중운동, 그리고 무장투쟁 중심으로 민족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


한국 민족주의의 중요한 특징은 저항 민족주의로 시작해 지배 권력의 동원이데올로기로까지 나아갔다는 점이다.

즉 일제 식민지기에 제국주의 반대라는 저항 민족주의를 출발했지만, 해방 이후 남과 북에서 각각 지배권력의 체제 정당화 이데올로기로 동원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데 1960년 4·19 혁명 이후로 민족주의가 지배 권력에 저항하는 담론으로 전화되기도 했다.


이렇듯 한국 민족주의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왔지만 혈통과 언어, 문화와 관습을 강조하는 종족적 민족주의의 특징을 강하게 띠고 있다.

또한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성장으로 국가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저항 민족주의가 아닌 팽창적, 공격적 민족주의 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점차 커진 상태이기도 하다.

유의어

내셔널리즘

국가의 공동체적 이념을 강조하고 통일, 독립, 발전을 꾀하는 주의.

민족 지상주의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 민족주의와 같은 말.

국민주의

국민의 이익이나 권위를 지키고 확립하려는 태도나 경향.

관련 어휘

민족주의 문학

민족의 번영과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08년~1919년 일제 침략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민족계몽자주독립을 쟁취하려는 목적에서 형성되었다.

민족주의 문학의 대표적 인물로는 이광수최남선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조윤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