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및 저서)
(작품 및 저서)
75번째 줄: 75번째 줄:
  
 
1931년(17세) - 시: 나의 꿈, 아들아 무서워 마라, 묵상
 
1931년(17세) - 시: 나의 꿈, 아들아 무서워 마라, 묵상
 +
 
1932년(18세) – 시: 젊은이여, 가두로 울며 헤메는 자여, 넋잃은 그의 앞가슴을 향하여, 봄노래, 황해를 건너는 사공아, 잡초, 등대
 
1932년(18세) – 시: 젊은이여, 가두로 울며 헤메는 자여, 넋잃은 그의 앞가슴을 향하여, 봄노래, 황해를 건너는 사공아, 잡초, 등대
 +
 
1933년(19세) – 시: 떨어지는 이날의 태양은, 그날부터, 1933년의 수레바퀴, 강한 여성, 옛사랑, 압록강, 황혼의 노래
 
1933년(19세) – 시: 떨어지는 이날의 태양은, 그날부터, 1933년의 수레바퀴, 강한 여성, 옛사랑, 압록강, 황혼의 노래
 +
 
1934년(20세) – 시: 이역에서, 밤거리에 나서서, 1934 /시집:<방가>
 
1934년(20세) – 시: 이역에서, 밤거리에 나서서, 1934 /시집:<방가>
 +
 
1935년(21세) – 시: 새로운 행진, 귀향의 노래, 거지애, 새 출발, 밤 차, 가로수, 굴뚝, 고향을 향해, 오후의 일편, 고독, 찻속에서, 무덤, 개미
 
1935년(21세) – 시: 새로운 행진, 귀향의 노래, 거지애, 새 출발, 밤 차, 가로수, 굴뚝, 고향을 향해, 오후의 일편, 고독, 찻속에서, 무덤, 개미
 +
 
1936년(22세) - 시: 도주, 잠, 제2집, 종달새, 반딧불, 코끼리, 나비, 게, 오리, 사람, 맨드라미, 앵두, 해바라기, 옥수수, 호박, 꽈리, 갈대, 선인장, 팽이, 담뱃대, 빌딩, 지도, 우체통, 괘종, 공, 칠월의 추억/ 시집: <골동품>, <창작>
 
1936년(22세) - 시: 도주, 잠, 제2집, 종달새, 반딧불, 코끼리, 나비, 게, 오리, 사람, 맨드라미, 앵두, 해바라기, 옥수수, 호박, 꽈리, 갈대, 선인장, 팽이, 담뱃대, 빌딩, 지도, 우체통, 괘종, 공, 칠월의 추억/ 시집: <골동품>, <창작>
 +
 
1937년(23세) – 소설: 거리의 부사
 
1937년(23세) – 소설: 거리의 부사
 +
 
1938년(24세) – 소설: 돼지계, 늪, 허수아비, 배역들, 소라, 갈대, 지나가는 비, 닭 제, 원정, 피아노가 있는 가을, 사마귀, 풍속/ 시: 과정, 행동
 
1938년(24세) – 소설: 돼지계, 늪, 허수아비, 배역들, 소라, 갈대, 지나가는 비, 닭 제, 원정, 피아노가 있는 가을, 사마귀, 풍속/ 시: 과정, 행동
 +
 
1940년(26세) – 소설: 별, 산골아이 / 첫 단편집: 황순원 단편집 <늪>/ 시: 무지개가 있는, 소라껍데기가 있는 바다, 대사
 
1940년(26세) – 소설: 별, 산골아이 / 첫 단편집: 황순원 단편집 <늪>/ 시: 무지개가 있는, 소라껍데기가 있는 바다, 대사
 +
 
1941년(27세) – 소설: 그늘, 저녁놀
 
1941년(27세) – 소설: 그늘, 저녁놀
 +
 
1942년(28세) – 소설: 기러기, 병든 나비, 애, 황로인, 머리
 
1942년(28세) – 소설: 기러기, 병든 나비, 애, 황로인, 머리
 +
 
1943년(29세) – 소설: 세레나데, 노새, 맹산할머니, 물 한 모금
 
1943년(29세) – 소설: 세레나데, 노새, 맹산할머니, 물 한 모금
 +
 
1944년(30세) – 소설: 독 짓는 늙은이 ,눈
 
1944년(30세) – 소설: 독 짓는 늙은이 ,눈
 +
 
1945년(31세) – 소설: 술이야기 / 시: 그날, 당신과 나, 신음소리, 열매, 골목
 
1945년(31세) – 소설: 술이야기 / 시: 그날, 당신과 나, 신음소리, 열매, 골목
 +
 
1946년(32세) – 소설: 두꺼비, 집, 별과 같이 살다, 황소들 / 시: 저녁저자에서
 
1946년(32세) – 소설: 두꺼비, 집, 별과 같이 살다, 황소들 / 시: 저녁저자에서
 +
 
1947년(33세) – 소설: 담배 한 대 피울 동안, 아버지, 목넘이 마을의 개, 모자
 
1947년(33세) – 소설: 담배 한 대 피울 동안, 아버지, 목넘이 마을의 개, 모자
 +
 
1948년(34세) – 소설: 몰이꾼 , 청산가리, 여인들/ 단편집: <목넘이 마을의 개>
 
1948년(34세) – 소설: 몰이꾼 , 청산가리, 여인들/ 단편집: <목넘이 마을의 개>
 +
 
1949년(35세) – 소설: 무서운 웃음
 
1949년(35세) – 소설: 무서운 웃음
 +
 
1950년(36세) – 소설: 참외, 아이들, 메리크리스마스
 
1950년(36세) – 소설: 참외, 아이들, 메리크리스마스
 +
 
1951년(37세) – 소설: 어둠속에 찍힌 판화, 솔메마을에 생긴 일, 목숨, 곡예사, 골목안 아이, 그
 
1951년(37세) – 소설: 어둠속에 찍힌 판화, 솔메마을에 생긴 일, 목숨, 곡예사, 골목안 아이, 그
 +
 
/단편집: <기러기>
 
/단편집: <기러기>
 +
 
1952년(38세) – 소설: 두메, 매, 소나기, 과부 / 단편집: <곡예사>/ 시: 향수, 제주도말  
 
1952년(38세) – 소설: 두메, 매, 소나기, 과부 / 단편집: <곡예사>/ 시: 향수, 제주도말  
 +
 
1953년(39세) – 소설: 학, 맹아원에서, 사나이, 왕모래
 
1953년(39세) – 소설: 학, 맹아원에서, 사나이, 왕모래
 +
 
1954년(40세) – 소설: 카인의 후예, 부끄러움
 
1954년(40세) – 소설: 카인의 후예, 부끄러움
 +
 
1955년(41세) – 소설: 필묵장수, 불가사리, 잃어버린 사람들, 인간접목,/ 시: 새
 
1955년(41세) – 소설: 필묵장수, 불가사리, 잃어버린 사람들, 인간접목,/ 시: 새
 +
 
1956년(42세) – 소설: 산, 비바리, 내일 / 단편집: <학>
 
1956년(42세) – 소설: 산, 비바리, 내일 / 단편집: <학>
 +
 
1957년(43세) – 소설: 소리, 다시 내일
 
1957년(43세) – 소설: 소리, 다시 내일
 +
 
1958년(44세) – 소설: 링 반데룽, 모든 영광은, 이삭주이, 너와 나만의 시간, 한벤취에서, 안개 구름 끼다/  단편집: 잃어버린 사람들
 
1958년(44세) – 소설: 링 반데룽, 모든 영광은, 이삭주이, 너와 나만의 시간, 한벤취에서, 안개 구름 끼다/  단편집: 잃어버린 사람들
 +
 
1959년(45세) – 소설: 할아버지가 있는 데쌍
 
1959년(45세) – 소설: 할아버지가 있는 데쌍
 +
 
1960년(46세) – 소설: 나무들 비탈에 서다, 손톱에 쓰다,  
 
1960년(46세) – 소설: 나무들 비탈에 서다, 손톱에 쓰다,  
 +
 
1961년(47세) – 소설: 내 고향 사람들, 가랑비, 송아지
 
1961년(47세) – 소설: 내 고향 사람들, 가랑비, 송아지
 +
 
1963년(49세) – 소설: 그래도 우리끼리는, 비늘, 달과 밤과
 
1963년(49세) – 소설: 그래도 우리끼리는, 비늘, 달과 밤과
 +
 
1964년(50세) – 소설: 일월 / 단편집: <너와 나만의 시간>
 
1964년(50세) – 소설: 일월 / 단편집: <너와 나만의 시간>
 +
 
1965년(51세) – 소설: 소리그림자, 온기 있는 파편, 어머니가 있는 유월의 대화, 아내의 눈길, 조그만 섬마을에서, 원색 오뚜기
 
1965년(51세) – 소설: 소리그림자, 온기 있는 파편, 어머니가 있는 유월의 대화, 아내의 눈길, 조그만 섬마을에서, 원색 오뚜기
 +
 
1966년(52세) - 소설: 수컷 퇴화설, 자연, 닥터 장의 경우, 우산을 접으며, 피
 
1966년(52세) - 소설: 수컷 퇴화설, 자연, 닥터 장의 경우, 우산을 접으며, 피
 +
 
1967년(53세) – 소설: 겨울 개나리, 차라리 내 목을, 막은 내렸는데
 
1967년(53세) – 소설: 겨울 개나리, 차라리 내 목을, 막은 내렸는데
 +
 
1971년(57세) – 소설: 탈
 
1971년(57세) – 소설: 탈
 +
 
1972년(58세) – 소설: 움직이는 성
 
1972년(58세) – 소설: 움직이는 성
 +
 
1973년(59세) – 전집: <황순원 문학전집>
 
1973년(59세) – 전집: <황순원 문학전집>
 +
 
1974년(60세) – 소설: 숫자풀이, 마지막 잔, 이날의 지각 / 시: 동화, 초상화, 헌가, 공에의 의미
 
1974년(60세) – 소설: 숫자풀이, 마지막 잔, 이날의 지각 / 시: 동화, 초상화, 헌가, 공에의 의미
 +
 
1975년(61세) – 소설: 뿌리, 주검의 장소, 나무와 돌
 
1975년(61세) – 소설: 뿌리, 주검의 장소, 나무와 돌
 +
 
1976년(62세) – 단편집: <탈>
 
1976년(62세) – 단편집: <탈>
 +
 
1977년(65세) – 시: 모란
 
1977년(65세) – 시: 모란
 +
 
1980년(66세) – 시: 꽃
 
1980년(66세) – 시: 꽃
 +
 
1982년(68세) – 소설: 신들의 주사위
 
1982년(68세) – 소설: 신들의 주사위
 +
 
1983년(69세) – 소설: 그림자 풀이/ 시: 낭만적, 관계, 메모
 
1983년(69세) – 소설: 그림자 풀이/ 시: 낭만적, 관계, 메모
 +
 
1984년(70세) – 시: 우리들의 세월, 밀어, 한 풍경, 고백, 기운다는 것
 
1984년(70세) – 시: 우리들의 세월, 밀어, 한 풍경, 고백, 기운다는 것
 +
 
1985년(71세) – 소설: 나의 죽부인전,  / 단상: 말과 삶의 자유
 
1985년(71세) – 소설: 나의 죽부인전,  / 단상: 말과 삶의 자유
 +
 
1986년(72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2, 말과 삶의 자유3
 
1986년(72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2, 말과 삶의 자유3
 +
 
1987년(73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4, 말과 삶의 자유5
 
1987년(73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4, 말과 삶의 자유5
 +
 
1988년(74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6
 
1988년(74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6
 +
 
1992년(78세) – 시: 산책길에서1, 산책길에서2, 죽음에 대하여, 미열이 있는 날 밤, 밤 늦어, 기쁨은 그냥, 숫돌, 무서운 아이
 
1992년(78세) – 시: 산책길에서1, 산책길에서2, 죽음에 대하여, 미열이 있는 날 밤, 밤 늦어, 기쁨은 그냥, 숫돌, 무서운 아이
  

2019년 6월 16일 (일) 09:56 판


황순원(1915년 3월 26일~2000년 9월 14일)

생애

  • 1915년 3월 26일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평양 숭덕학교 고등과 교사였던 찬영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 대학 졸업 후 귀국하여 향리인 대동군 재경면 빙장리 등에서 작품 활동을 하며 지내다가 1946년 월남하였다.
  • 1980년 경희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였으며, 2000년 9월 14일 향년 86세로 별세하였다.

평안남도 대동군.PNG

학력사항

와세다대학교.jpg

경력사항

  • 1957 예술원 회원

경희대학교.PNG

작품세계 (활동내역)

  • 황순원의 문학 활동은 1930년부터 동요와 시를 신문에 발표하는 데서 출발한다. 첫 시집 『방가』(1934), 제2시집 『골동품』이 그 결실이다. 와세다 제2고등학원에 다닐 무렵에는 이해랑·김동원 등과 함께 극예술단체인 학생예술좌(學生藝術座)를 만들기도 했으나 희곡작품을 남기지는 않았다.
  • 1935년『삼사문학』의 동인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일본에서 발행된 『창작』의 동인이 되었으며, 1937년에는 『단층』의 동인이 되었다. 동인지 활동을 하던 이 무렵부터 소설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어 단편 「거리의 부사」를 『창작』제3집에 싣는 등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1940년 첫 단편집 『늪』(1940)을 내면서부터 소설에 전념하게 된다. 황순원은 주로 단편을 창작하다가 「움직이는 성」(1972) 이후에는 장편 창작에 주력하였다.
  • 일제 강점기 막바지에 이르러 한글 소설의 발표가 크게 제약되었을 때도 황순원은 소설 창작을 멈추지 않았다. 「기러기」, 「독 짓는 늙은이」, 「황노인」, 「맹산 할머니」 등이 대표작이다.
  • 황순원의 소설 문체는 흔히 시적 문체로 불리는데 이는 압축 또는 생략을 통해 대상의 핵심 속성을 드러내는 문체적 특성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대상의 사실적 재현을 겨누는 우리 소설 일반의 문체와는 구별되는 황순원의 개성적인 문체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것이다. 황순원의 초기소설 가운데는 입사소설의 성격을 띤 작품이 많은데 「[소나기]」(1953), 「별」(1941), 「산골 아이」(1949), 「황소들」(1948), 「닭제」(1940)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 소설의 주인공들이 죽음, 이별 등을 겪으며 인간과 세계에 대해 몰랐던 것을 알며 성장하는 행로는 곧 입사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황순원은 어려운 시대상황에 휩쓸려 고통 받는 인물들의 삶을 그린 소설도 많이 썼다. 해방 직후가 배경인 「집」(1948)과 「술, 6·25전쟁기가 배경인 「카인의 후예」(1954), 「곡예사」(1952), 「학」(1953), 「어머니가 있는 유월의 대화」(1965) 등이 이에 해당하는 작품들이다. 한편 「일월」(1965)과 「신들의 주사위」(1982) 두 장편은 각각 전근대적 신분제도와 가부장제도에 치여 고통 받는 인물을 중심에 놓았다는 점에서 제도의 폭력성을 문제 삼은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작품 및 저서

1931년(17세) - 시: 나의 꿈, 아들아 무서워 마라, 묵상

1932년(18세) – 시: 젊은이여, 가두로 울며 헤메는 자여, 넋잃은 그의 앞가슴을 향하여, 봄노래, 황해를 건너는 사공아, 잡초, 등대

1933년(19세) – 시: 떨어지는 이날의 태양은, 그날부터, 1933년의 수레바퀴, 강한 여성, 옛사랑, 압록강, 황혼의 노래

1934년(20세) – 시: 이역에서, 밤거리에 나서서, 1934 /시집:<방가>

1935년(21세) – 시: 새로운 행진, 귀향의 노래, 거지애, 새 출발, 밤 차, 가로수, 굴뚝, 고향을 향해, 오후의 일편, 고독, 찻속에서, 무덤, 개미

1936년(22세) - 시: 도주, 잠, 제2집, 종달새, 반딧불, 코끼리, 나비, 게, 오리, 사람, 맨드라미, 앵두, 해바라기, 옥수수, 호박, 꽈리, 갈대, 선인장, 팽이, 담뱃대, 빌딩, 지도, 우체통, 괘종, 공, 칠월의 추억/ 시집: <골동품>, <창작>

1937년(23세) – 소설: 거리의 부사

1938년(24세) – 소설: 돼지계, 늪, 허수아비, 배역들, 소라, 갈대, 지나가는 비, 닭 제, 원정, 피아노가 있는 가을, 사마귀, 풍속/ 시: 과정, 행동

1940년(26세) – 소설: 별, 산골아이 / 첫 단편집: 황순원 단편집 <늪>/ 시: 무지개가 있는, 소라껍데기가 있는 바다, 대사

1941년(27세) – 소설: 그늘, 저녁놀

1942년(28세) – 소설: 기러기, 병든 나비, 애, 황로인, 머리

1943년(29세) – 소설: 세레나데, 노새, 맹산할머니, 물 한 모금

1944년(30세) – 소설: 독 짓는 늙은이 ,눈

1945년(31세) – 소설: 술이야기 / 시: 그날, 당신과 나, 신음소리, 열매, 골목

1946년(32세) – 소설: 두꺼비, 집, 별과 같이 살다, 황소들 / 시: 저녁저자에서

1947년(33세) – 소설: 담배 한 대 피울 동안, 아버지, 목넘이 마을의 개, 모자

1948년(34세) – 소설: 몰이꾼 , 청산가리, 여인들/ 단편집: <목넘이 마을의 개>

1949년(35세) – 소설: 무서운 웃음

1950년(36세) – 소설: 참외, 아이들, 메리크리스마스

1951년(37세) – 소설: 어둠속에 찍힌 판화, 솔메마을에 생긴 일, 목숨, 곡예사, 골목안 아이, 그

/단편집: <기러기>

1952년(38세) – 소설: 두메, 매, 소나기, 과부 / 단편집: <곡예사>/ 시: 향수, 제주도말

1953년(39세) – 소설: 학, 맹아원에서, 사나이, 왕모래

1954년(40세) – 소설: 카인의 후예, 부끄러움

1955년(41세) – 소설: 필묵장수, 불가사리, 잃어버린 사람들, 인간접목,/ 시: 새

1956년(42세) – 소설: 산, 비바리, 내일 / 단편집: <학>

1957년(43세) – 소설: 소리, 다시 내일

1958년(44세) – 소설: 링 반데룽, 모든 영광은, 이삭주이, 너와 나만의 시간, 한벤취에서, 안개 구름 끼다/ 단편집: 잃어버린 사람들

1959년(45세) – 소설: 할아버지가 있는 데쌍

1960년(46세) – 소설: 나무들 비탈에 서다, 손톱에 쓰다,

1961년(47세) – 소설: 내 고향 사람들, 가랑비, 송아지

1963년(49세) – 소설: 그래도 우리끼리는, 비늘, 달과 밤과

1964년(50세) – 소설: 일월 / 단편집: <너와 나만의 시간>

1965년(51세) – 소설: 소리그림자, 온기 있는 파편, 어머니가 있는 유월의 대화, 아내의 눈길, 조그만 섬마을에서, 원색 오뚜기

1966년(52세) - 소설: 수컷 퇴화설, 자연, 닥터 장의 경우, 우산을 접으며, 피

1967년(53세) – 소설: 겨울 개나리, 차라리 내 목을, 막은 내렸는데

1971년(57세) – 소설: 탈

1972년(58세) – 소설: 움직이는 성

1973년(59세) – 전집: <황순원 문학전집>

1974년(60세) – 소설: 숫자풀이, 마지막 잔, 이날의 지각 / 시: 동화, 초상화, 헌가, 공에의 의미

1975년(61세) – 소설: 뿌리, 주검의 장소, 나무와 돌

1976년(62세) – 단편집: <탈>

1977년(65세) – 시: 모란

1980년(66세) – 시: 꽃

1982년(68세) – 소설: 신들의 주사위

1983년(69세) – 소설: 그림자 풀이/ 시: 낭만적, 관계, 메모

1984년(70세) – 시: 우리들의 세월, 밀어, 한 풍경, 고백, 기운다는 것

1985년(71세) – 소설: 나의 죽부인전, / 단상: 말과 삶의 자유

1986년(72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2, 말과 삶의 자유3

1987년(73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4, 말과 삶의 자유5

1988년(74세) – 단상: 말과 삶의 자유6

1992년(78세) – 시: 산책길에서1, 산책길에서2, 죽음에 대하여, 미열이 있는 날 밤, 밤 늦어, 기쁨은 그냥, 숫돌, 무서운 아이

관련 콘텐츠

  • 1970년 영화 《시집은 가야지요》

이형표(李亨杓)감독의 작품으로, 황순원이 영화배우로 데뷔한 영화이다.

  • 창작 뮤지컬 '리틀 잭'

황순원의 소나기를 모티브로 가져와 1960년대 영국을 배경으로 풀어낸 뮤지컬이다.


황순원 작품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영화들

기타

수상내역

2000 금관문화훈장
1987 제1회 인촌상 문학부문
1983 대한민국문학상
1970 국민훈장 동백장
1966 3.1문화상
1961 예술원상
1955 아시아자유문학상


관련 영상

  • 지식채널e - 고집스럽고 까다로운 작가의 결말

  • [TV책방 북소리] 황순원 '소나기', 문학 속 공간 읽기

황순원 문학촌 소나기마을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 항목 (마카롱조)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순원 평안남도 대동군 A는 B에서 태어났다.
황순원 오산학교 A는 B를 졸업했다.
황순원 숭덕소학교 A는 B를 졸업했다.
황순원 와세다 대학교 A는 B를 졸업했다.
황순원 동경학생예술좌 A는 B를 창립했다.
황순원 경희대학교 A는 B에서 조교수로 전임했다.
황순원 독 짓는 늙은이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목넘이 마을의 개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소나기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카인의 후예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너와 나만의 시간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말과 삶의 자유 A는 B의 저자이다.
황순원 황동규 A는 B와 부자관계이다.
황순원 아시아 자유문학상 A는 B를 수상했다.
황순원 예술원상 A는 B를 수상했다.
황순원 3.1문학상 A는 B를 수상했다.
황순원 대한민국문학상 A는 B를 수상했다.
황순원 인촌상 A는 B를 수상했다.
황순원 서울고등학교 A는 B에서 교사로 활동했다.
황순원 일제강점기 A는 B를 경험했다.
황순원 시집은 가야지요 A는 B에서 데뷔했다.
황순원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 A는 B에 의해 기억된다.
황순원 황순원문학관 A는 B에 의해 기억된다.
황순원 전쟁 A는 B를 경험했다.
황순원 근대 A는 B를 경험했다.
황순원 조선청년문학가협회 A는 B의 협회 의원이다.
황순원 황시내 A는 B의 조부이다.

참고문헌

황순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황순원,네이버인물정보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유시연, 마카롱조, 김보민, 김민지, 김도현, 연형모, 조아현, 이학주

기여자: 김현석 이현주(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