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계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917년 일본 동경(東京)에서 재일(在日) 조선인 여자 유학생 집단에 의해 편집·발행된 회보·여성잡지·기관지.

편찬/발간 경위

1910년대 일본에 건너간 여자 유학생들은 신지식을 배워 '무인격한 동물'과도 같은 생활을 하는 조선의 여성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을 선도하는 역할이 스스로에게 있음을 인식했다. 그들은 주체적 의식을 가지고 여자계라는 잡지를 발행하였고, 사회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여성문제를 잡지 안에 담아냈다.

여자계는 1917년 6월 말에 활판본으로 창간되어, 1927년 1월 "女子界 第四號"[이후 여자계 속간호(續刊號)라고 칭함]를 끝으로 계속 발간되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제2호는 '동경여자유학생친목회(東京女子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1918년 3월에 발행되었으며, 편집 겸 발행인은 김덕성, 편집부원은 허영숙, 황애시덕, 나혜석, 편집찬조는 전영택, 이광수가 맡았다. 제3호는 1918년 9월 발행되었으며 편집 겸 발행인은 황애시덕이 맡았다. 제4호는 1920년 3월, 제5호는 1920년 6월, 제6호는 1921년 1월에 발행되었으며 편집 겸 발행인은 모두 유영준(劉英俊)으로 올라 있다. 제7호는 현재 소재를 확인할 수 없으나 학지광 제22호 광고란을 통해 그 목차를 확인할 수 있으며, 1923년 4월 10일자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실린 글을 통해 재정곤란과 '여자학흥회(女子學興會)'의 활동정체 때문에 제7호를 끝으로 더 이상 발행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자계는 여성들의 손으로 잡지를 발간하면서, 초기에는 학지광 등의 매체를 통해 잡지 경영의 경험이 있는 전영택, 이광수 등 남성필자의 도움을 받았다. 특히 잡지 경영에 필요한 자금 문제와 원고 수집 문제는 이들의 도움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여자계는 제4호를 시작으로 여자유학생만을 중심으로 한 발간을 시도한다. 이들이 독립경영을 시도한 것은 "文明의 바람이 우리의 낫츨 슷침으로 비로소 눈을 떠보니 벌서 남들은 깨여서 同等權, 參政權을 찻노라고 애를 씀니다. 우리는 이러한 自覺과 自任을 가지고 우리의 남자社會에서 負擔할 우리의 重荷를 萬分之一이라도 난호야 되겟다는 决心" 때문이었다.

서지사항

판형은 국판으로 국한문 혼용체를 택하였으며, 분량은 77면 정도였고 정가는 18전이었다. 제2호부터 연 4회씩 발간하는 것으로 개정되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1년에 2호 정도 발간하다 1921년 7호로 종간되었다. 현재 2호와 6호가 남아 있으며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아단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여자계에 수록된 여성 담론을 살펴보면, 유교적이고 봉건적인 ‘현모(賢母)’의 삶을 비판하고 ‘근대적 현모양처’를 주장한 글, 여자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 글, 교육받은 여성의 역할에 대해 조선 여성을 계몽시킬 ‘교육자’로서 호명하고, 그들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한 글, 문명한 여성의 겉모습만 모방하느라 ‘현모양처’의 의무를 소홀히 하는 신여성을 비판하는 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자계 여성필자들은 이러한 담론을 전개하면서 다양한 타자를 내세우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세우려 했다. 그들은 스스로를 ‘남성’과 동등한 사람으로서 위치지우고, 자유와 평등을 획득한 ‘문명국 여성’처럼 되고 싶어 했다. 이것은 조선의 무지한 여성들과 신여성을 구별하여 그들의 ‘교육자’로서 자신을 위치하게 했으며, 사치에 물들어 ‘근대적 현모양처’의 의무를 소홀히 하는 신여성과 구별 짓는 목소리를 갖게 했다. ‘남성’과 같은 공간에서 조선의 무지한 여성들을 향해 다양한 담론을 펼친 여성필자들은 스스로를 지식인이라는 정체성 안에서 사고하도록 만들었다.

여자계에 실린 대부분의 글을 살펴보면 ‘한자(漢字)’를 포함하고 있다. 근대시기 한문체, 국한문체, 국문체의 분류 속에서 하나의 문체를 선택하는 것은 단순히 생각을 전달하는 도구의 선택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한문과 한글의 계층적 위계가 분명한 상황에서, 한자는 지식인의 표상이었다. 특히 문장 안에서 한자를 노출하는 것은 당대 유학생들에게 익숙한 문체였다. 당시 여자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학지광을 포함한 대부분의 유학생 잡지들이 다양한 형태의 국한문체로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일본 여자 유학생들에게도 국한문체는 익숙한 지식인 유학생의 문체였을 것이다. 그들에게 ‘한자’의 사용은 자신이 ‘쉬운 글’을 쓰는 조선의 여성들과 구별되는 ‘유학생 지식인’이라는 정체성이 투영된 결과였다.

여자계의 독자들은 잡지가 순언문으로 발행되길 희망했으며, 편집인들도 이에 동감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원고를 쉽게 쓰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여자계 제2호부터 제6호까지 「投稿에 對하야」란에는 “文體는 할 수 잇는 대로 漢字를 쓰지 말고 우리글로 우리말을 쓰도록 바랍니다.”라는 문장이 실려 있다. 이를 통해 여자계가 ‘우리글’을 기호로 하는 ‘우리말’ 글쓰기를 지향했으며, 이것은 단순히 한자를 한글로 바꾼 문장을 주장한 것이 아니라, ‘우리글’을 표기체계로 하여 ‘우리말’을 하듯이 쓰는 언문일치의 문장을 쓰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딱딱하고 어려운 글쓰기 보다는, 빠르고 쉽게 이해되는 언문에 가까운 글쓰기를 의미한다. 실제로 여자계에는 당대 유학생 잡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한글 기사와 한글 소설이 실린다.

여성필자와 남성필자들의 글이 서로 다르기도 했다. 남성필자들은 자신보다 낮은 사람을 계몽하고 각성시키듯이 건조한 문장을 통해 글을 전개하고, 강건한 문체로 여성문제를 논하였다. 반면에 여성필자들에게 여성문제는 단순히 '저네들'의 문제가 아닌, '여성'이라는 동질감을 지닌 '우리'의 문제로 다가왔기에 이것은 여성문제를 지적하거나 해결방법을 제시할 때 자신의 감정을 쉽게 노출하도록 만들었으며, 동질감을 지닌 상대방에게 말하듯이 구어체의 문장으로 서술되도록 이끌었다. 특히 '~ㅂ/습니다', '~요'처럼 계층적 서열이 없는 동료적 관계임을 짐작하게 하는 존칭을 사용한 것과 누구나 아는 사실을 의문의 형태로 표현하여 자신의 주장을 부드럽게 전달하는 설의법을 사용한 점도 특징이었다.

의의와 평가

'전통적으로 언어와 문자의 권위는 완전히 남성에게 귀속된 것이었으며, 여성들의 글쓰기와 문학 창작은 공식적으로 권고되지 않는 영역'이었다. 유교적 이념 안에서 여성의 공적인 사회 활동은 제한되었으며, 문자 교육도 ‘남성의 보조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만 허락되었다. 여성들에게 글쓰기는 친정이나 시집에 편지를 쓸 수 있을 정도의 일상적인 범위 내에서 허용되었으며, 그들의 글은 가족이나 친족이라는 사적인 범위 내에서 유통되는 제한적인 형태를 띠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록 적은 지면이지만 여성필자들이 그들만의 방식으로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가고, 이전까지는 없었던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글을 쓸 수 있는 여성의 글쓰기 공간을 확보한 것, 여자계 발행을 주도한 것은 여성 스스로가 ‘남성’과 동등한 ‘사람’이 되기 위한 움직임의 하나였다.

우리가 여자계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여자계 편집인들과 독자들은 여성 독자를 위한 '독자 중심의 글쓰기'를 지향했고, 일부 글에서나마 순한글을 시도했다는 것이다. 비록 '지식인'이라는 정체성 때문에 '한자'를 버리지 못했으나, '한자'의 대부분은 단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정도에 머물렀다. 이것은 넓은 맥락에서 보면 국문체의 확대를 통해 근대적 글쓰기에 가까워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RDF

A B 관계
여자계 김덕성 A에 B가 참여하다.
여자계 허영숙 A에 B가 참여하다.
여자계 황애시덕 A에 B가 참여하다.
여자계 나혜석 A에 B가 참여하다.
여자계 전영택 A에 B가 참여하다.
여자계 이광수 A에 B가 참여하다.
여자계 봉건적 현모 A가 B를 비판하다.
여자계 우리글 A가 B를 지향하다.
여자계 독자 중심 글쓰기 A가 B를 지향하다.
여자계 여성 A가 B를 독자로 삼다.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