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변풍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담)
(배경)
7번째 줄: 7번째 줄:
  
 
== 배경 ==
 
== 배경 ==
  * 시대적 배경 : 1930년대 ([[물질만능주의]])
+
  * 시대적 배경 : 1930년대 (물질만능주의)
  * 공간적 배경 : [[서울]] [[청계천]]변
+
  * 공간적 배경 : 서울 청계천변
  * 사회적 분위기 : 서울의 중산층과 하층민의 가난한 삶과 애환. 실제로 등장하는 인물 모두 [[가난]]으로 인한 아픔에 시달리고 있다.
+
  * 사회적 분위기 : 서울의 중산층과 하층민의 가난한 삶과 애환. 실제로 등장하는 인물 모두 가난으로 인한 아픔에 시달리고 있다.
  
 
== 여담 ==
 
== 여담 ==

2019년 6월 3일 (월) 16:42 판

개요

川邊風景 박태원의 단편소설. 청계천변 주민 삼십여 명의 일상사를 다루는 개별 삽화 형식의 소설로 한국 현대문학의 리얼리즘 걸작이라 평가받는다. 1938년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줄거리

이 작품은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였기에 '딱 떨어지는 줄거리'가 없다. 소설의 시작은 빨랫터에서 시끄럽게 떠들며 빨래를 하는 아낙네들을 묘사함으로 시작된다. 이발소집 소년인 재봉이는 바깥 풍경을 바라보며 전혀 심심함을 느끼지 않는다. 민 주사는 이발소 거울에 비친 늙어가는 자신의 얼굴을 바라보며 한숨을 짓지만, 그래도 지위와 돈이 최고라는 생각에 흐뭇해 한다. 여급 하나꼬의 일상, 한약국집에 사는 젊은 내외의 외출, 한약국집 사환인 창수의 어제 오늘, 약국 안에 행랑을 든 만돌 어멈에 대한 안방 마님의 꾸지람, 이쁜이의 결혼, 이를 바라보기만 하는 점룡이, 신전집의 몰락, 민 주사의 노름과 정치적 야망, 민 주사의 작은집인 안성집의 외도, 포목점 주인의 매부 출세시키기, 이쁜이의 시집살이, 민 주사의 선거 패배, 창수의 희망, 금순이의 관거와 현재, 웃음 없는 여급 기미꼬와 하나꼬의 여급 생활, 금순이와 동생 순동의 만남, 하나꼬의 시집살이와 이쁜이의 속사정, 재봉이와 젊은 이발사 김 서방의 말다툼, 친정으로 돌아오는 이쁜이, 이발사 시험을 볼 재봉이 등의 에피소드들이 펼쳐진다.

배경

* 시대적 배경 : 1930년대 (물질만능주의)
* 공간적 배경 : 서울 청계천변
* 사회적 분위기 : 서울의 중산층과 하층민의 가난한 삶과 애환. 실제로 등장하는 인물 모두 가난으로 인한 아픔에 시달리고 있다.

여담

박태원의 또다른 작품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과 마찬가지로 모의고사나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편이다. 2013학년도 수능, 2019학년도 수능에 출제되었다. 수능에 두 번이상 출제된 작품중 하나다.[* 수능에 두 번 이상 출제된 현대소설 문학작품으론 염상섭의 삼대(1994, 1999), 최인훈의 광장(1994, 2006), 윤흥길장마(2001, 2010 영화 시나리오), 이문구관촌수필(2003, 2010, 2018),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2009 영화 시나리오, 2014), 이범선오발탄(2002, 2019 둘다 영화 시나리오) 등이 있다.] 그만큼 수능문제 출제위원들이 좋아하는 소설이고 작품성을 인정받은 소설이기도 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