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매일신보.jpg|200px]]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매일신보.jpg|20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발행년도''' || [[1910년]]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발행년도''' || 1910년
 
|-  
 
|-  
| style="text-align:center;"|'''발행주기''' || [[기관지, 일간지]]
+
| style="text-align:center;"|'''발행주기''' || 기관지, 일간지]
 
|-  
 
|-  
 
| style="text-align:center;"|'''사시''' || 내선일체
 
| style="text-align:center;"|'''사시''' || 내선일체
16번째 줄: 16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
 +
 +
'''매일신보'''
 +
 +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기관지로 발생되던 한국어 일간 신문
 +
 +
=='''개요'''==
 +
약칭 '매신'으로 불린다
 +
 +
1904년 7월 18일 영국인 배설이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를 일제가 사들여 1910년 '한인 병합 조약'이 채결된 직후에 <[경성일보]>가 <[대한매일신보]>를 인수하여 제호에서 '대한'이라는 두 글자를 뺀 뒤 <[경성일보]>의 자매지로 <[매일신보(每日申報)]>를 개제하였다. 경영상으로는 일어판 일간지 <[경성일보]>에 통합시켰기에 <[경성일보]>의 일본인 사장과 편집국장 밑에 소속되어 일제의 한국 통치를 합리화하고 [<ref>내선일체</ref>]를 주장하는 논조로 발간되었다.
 +
 +
 +
=='''특징'''==
 +
 +
===1920- 1930년대===
 +
1920년 초까지의 무단정치 기간에는 <[매일신보]>가 유일한 한국어 일간지였으므로, 이 신문에 [이인직], [조중환] ,[이해조] ,[이상현] 등 신소설 또는 법안 소설을 발표하였고, [이광수]가 데뷔작 [무정], [개척자]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
 +
또한 편집국을 <[경성일보]> 편집국에서 분리시켰고, 1938년 4월 16일 <[경성일보]>에서 완전 독립된 주식회사가 되었다. 또한 제호도 <[매일신보](每日新報)>로 바꾸고 최린이 사장으로 취임했다.
 +
하지만 이때도 주식의 과반수를 조선총독부가 소유하고 있었다.
 +
 +
===한계===
 +
반일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한매일신보>와는 달리 일본인이 사장과 편집국장을 맡은 상황이었기에 <[매일신보]>는 조선총독부와 일제의 통치에 협조적인 일간지였다.
 +
 +
===조명===
 +
 +
 +
 +
=='''지도'''==
 +
[[여동윤]]이 현재 재학하고 있는 [http://www.hansung.ac.kr/web/www/home 한성대학교]의 지도이다.
 +
<div>
 +
{{
 +
#display_map:
 +
Seoul City;
 +
37.581856, 127.010383
 +
|service=googlemaps3
 +
|width=400
 +
|height=2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
</div>
 +
 +
=='''관련 콘텐츠'''==
 +
*모더니즘 5분정리
 +
 +
<youtube>sU50GaV5S7s</youtube>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매일신보]] || [[개인주의]] || 영향을 받다 ||
 +
|-
 +
| [[모더니즘]] || [[상징주의]] || 영향을 받다 ||
 +
|-
 +
| [[모더니즘]] || [[실존주의]] || 영향을 받다 ||
 +
|-
 +
| [[모더니즘]] || [[큐비즘]] || 영향을 받다 ||
 +
|-
 +
| [[모더니즘]] || [[낭만주의]] || 배격하다 ||
 +
|-
 +
| [[모더니즘]] || [[초현실주의]] || 배격하다 ||
 +
|-
 +
| [[모더니즘]] || [[최재서]] || 관련이 있다 ||
 +
|-
 +
| [[모더니즘]] || [[김기림]] || 관련이 있다 ||
 +
|-
 +
| [[모더니즘]] || [[김광균]] || 관련이 있다 ||
 +
|-
 +
| [[모더니즘]] || [[박태원]] || 관련이 있다 ||
 +
|-
 +
| [[모더니즘]] || [[정지용]] || 관련이 있다 ||
 +
|-
 +
| [[모더니즘]] || [[구인회]] || 관련이 있다 ||
 +
|-
 +
| [[모더니즘]]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에 의해 사용됬다 ||
 +
|-
 +
|}
 +
 +
=='''참고문헌'''==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25271&cid=42192&categoryId=42215 한국신문역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7294&cid=60555&categoryId=60555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1956&cid=40942&categoryId=31755 두산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1249&cid=50765&categoryId=50778 원불교대사전]
 +
=='''네트워크 그래프'''==
 +
=='''각주'''==
 +
<references/ 뿌>
 +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전유미]]
 +
[[분류:신문] [[분류:ㅣ일간지]] [[분류:전유미]] [[분류:조선어신문]] [[분류:매신]] [[분류:최서해]] [[분류:이광수]]

2019년 6월 16일 (일) 19:15 판


매일신보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기관지로 발생되던 한국어 일간 신문

개요

약칭 '매신'으로 불린다

1904년 7월 18일 영국인 배설이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를 일제가 사들여 1910년 '한인 병합 조약'이 채결된 직후에 <[경성일보]>가 <[대한매일신보]>를 인수하여 제호에서 '대한'이라는 두 글자를 뺀 뒤 <[경성일보]>의 자매지로 <[매일신보(每日申報)]>를 개제하였다. 경영상으로는 일어판 일간지 <[경성일보]>에 통합시켰기에 <[경성일보]>의 일본인 사장과 편집국장 밑에 소속되어 일제의 한국 통치를 합리화하고 [[1]]를 주장하는 논조로 발간되었다.


특징

1920- 1930년대

1920년 초까지의 무단정치 기간에는 <[매일신보]>가 유일한 한국어 일간지였으므로, 이 신문에 [이인직], [조중환] ,[이해조] ,[이상현] 등 신소설 또는 법안 소설을 발표하였고, [이광수]가 데뷔작 [무정], [개척자]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또한 편집국을 <[경성일보]> 편집국에서 분리시켰고, 1938년 4월 16일 <[경성일보]>에서 완전 독립된 주식회사가 되었다. 또한 제호도 <[매일신보](每日新報)>로 바꾸고 최린이 사장으로 취임했다. 하지만 이때도 주식의 과반수를 조선총독부가 소유하고 있었다.

한계

반일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한매일신보>와는 달리 일본인이 사장과 편집국장을 맡은 상황이었기에 <[매일신보]>는 조선총독부와 일제의 통치에 협조적인 일간지였다.

조명

지도

여동윤이 현재 재학하고 있는 한성대학교의 지도이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 콘텐츠

  • 모더니즘 5분정리

관련항목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매일신보 개인주의 영향을 받다
모더니즘 상징주의 영향을 받다
모더니즘 실존주의 영향을 받다
모더니즘 큐비즘 영향을 받다
모더니즘 낭만주의 배격하다
모더니즘 초현실주의 배격하다
모더니즘 최재서 관련이 있다
모더니즘 김기림 관련이 있다
모더니즘 김광균 관련이 있다
모더니즘 박태원 관련이 있다
모더니즘 정지용 관련이 있다
모더니즘 구인회 관련이 있다
모더니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에 의해 사용됬다

참고문헌

한국신문역사

한국현대문학대사전

두산백과

원불교대사전

네트워크 그래프

각주

<references/ 뿌>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신문]
  1. 내선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