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문학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
 
==개요==
 
==개요==
 +
[[대산문학상]]은 1993년 [[교보생명]] 창업자인 대산 [[신용호]]에 의해 만들어진 대산문화재단에서 시상하는 문학상이다.
  
 +
민족문화 창달과 한국문화의 세계화 기여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시/소설/희곡 부문 수상작은 외국어로 번역하고 출판하여 해외에도 알려질 수 있도록하고 있다.
  
==시상부문/상금/선정방법==
+
[[대산문학상]] 외에도 신인문인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대산창작기금 사업, 대학생들의 작품을 발굴하는 대산대학문학상, 청소년 인재를 발굴, 육성하기 위한 대산청소년문학상 사업들을 포함한 각종 문화 사업들이 시행되고 있다.
  
사건의 배경, 경과, 결과 등을 상세하게, 자유로운 형식으로 기술합니다. (제목도 바꿀 수 있음)
+
==시상부문/상금/선정방법/일정==
 +
*시상부문
 +
#시(시조)
 +
#소설
 +
#희곡
 +
#평론
 +
#번역
  
==대산문화재단==
+
*상금
 +
부문별 5천만원씩 총 2억원(희곡과 평론은 격년 시상)
 +
 
 +
*선정방법
 +
최근 1년 동안 단행본으로 발표된 작품들을 심사하여 부문별로 작품성이 뛰어난 작품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
 
 +
*일정
 +
#후보선정:5월 중순~8월 중순
 +
#작품심사:예심 8~9월, 본심 9~10월
 +
#수상작 발표:11월 초
 +
#시상:11월
 +
 
 +
==역대수상자==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
 +
!수상년도/횟수||부문||수상자||수상작
 +
|-
 +
|1993년/1회||시||[[고은]]||[[내일의 노래]]
 +
|-
 +
| ||소설||[[이승우]]||[[생의 이면]]
 +
|-
 +
| ||희곡||[[오태석]]||[[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
|-
 +
| ||평론||[[백낙청]]||[[현대문학을 보는 시각]]
 +
|-
 +
| ||번역||[[이학수]]||[[Pine River and Lone Peak 조선 3인 시전집]]
 +
|-
 +
|1994년/2회||시||[[이형기]]||[[죽지 않는 도시]]
 +
|-
 +
| ||소설||[[이청준]]||[[흰 옷]]
 +
|-
 +
| ||평론||[[김우창]]||[[시인의 보석]]
 +
|-
 +
| ||번역||[[최윤]],[[파트릭 모리스]]||[[광장]]
 +
|-
 +
|1995년/3회||시||[[황동규]]||[[미시령 큰 바람]]
 +
|-
 +
| ||소설||[[최인석]]||[[내 영혼의 우물]]
 +
|-
 +
| ||희곡||[[이윤택]]||[[문제적 인간,연산]]
 +
|-
 +
| ||평론||[[유종호]]||[[문학의 즐거움]]
 +
|-
 +
| ||번역||[[정종화]],[[안선재]]||[[The Poet 시인]]
 +
|-
 +
|1996년/4회||시||[[정현종]]||[[세상의 나무들]]
 +
|-
 +
| ||소설||[[이호철]]||[[남녘사람 북녘사람]]
 +
|-
 +
| ||희곡||[[이강백]]||[[영월행 일기]]
 +
|-
 +
| ||번역||[[김미혜]],[[실비아 브래잴]]||[[풍장]]
 +
|-
 +
|1997년/5회||시||[[김춘수]]||[[들림,도스토예프스키]]
 +
|-
 +
| ||소설||[[박완서]]||[[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
|-
 +
| ||평론||[[김병익]]||[[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
|-
 +
|1998년/6회||시||[[신경림]]||[[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
|-
 +
| ||소설||[[김주영]]||[[홍어]]
 +
|-
 +
| ||희곡||[[이만희]]||[[돌아서서 떠나라]]
 +
|-
 +
| ||평론||[[조남현]]||[[1990년대 문학의 담론]]
 +
|-
 +
|1999년/7회||시||[[황지우]]||[[어느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
 +
|-
 +
| ||소설||[[서정인]]||[[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
 +
|-
 +
| ||희곡||[[노경식]]||[[천년의 바람]]
 +
|-
 +
| ||평론||[[김종철]]||[[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
|-
 +
| ||번역||[[최미경]],[[장 노엘 주테]]||[[열녀춘향수절가]]
 +
|-
 +
|2000년/8회||시||[[최승호]]||[[그로데스크]]
 +
|-
 +
| ||소설||[[이윤기]]||[[두물머리]]
 +
|-
 +
| ||평론||[[오생근]]||[[그리움으로 짓는문학의 집]]
 +
|-
 +
| ||번역||[[고광단]],[[장 노엘 주테]]||[[생의 이면]]
 +
|-
 +
|2001년/9회||시||[[이성부]]||[[지리산]]
 +
|-
 +
| ||소설||[[황석영]]||[[손님]]
 +
|-
 +
| ||희곡||[[이근삼]]||[[화련한 가출]]
 +
|-
 +
| ||평론||[[최원식]]||[[문학의 귀환]]
 +
|-
 +
| ||번역||[[이인숙]],[[김경희]],[[마리즈 부르뎅]]||[[달궁]]
 +
|-
 +
|2002년/10회||시||[[김지하]]|| [[화개]]
 +
|-
 +
| ||소설||[[김원우]]||[[객수산록]]
 +
|-
 +
| ||희곡||[[김명화]]||[[돐날]]
 +
|-
 +
| ||평론||[[김윤식]]||[[우리 소설과의 대화]]
 +
|-
 +
| ||번역||[[유영난]]||[[영원한 제국]]
 +
|-
 +
|2003년/11회||시||[[김광규]]||[[처음 만나던 때]]
 +
|-
 +
| ||소설||[[송기원]]||[[사람의 향기]]
 +
|-
 +
| ||번역||[[김에델]],[[김선희]]||[[Vogel 새]]
 +
|-
 +
|2004년/12회||시||[[이성복]]||[[아, 입이 없는 것들]]
 +
|-
 +
| ||소설||[[윤흥길]]||[[소라단 가는 길]]
 +
|-
 +
| ||희곡||[[박상현]]||[[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
 +
|-
 +
| ||평론||[[황광수]]||[[길 찾기,길 만들기]]
 +
|-
 +
| ||번역||[[박황배]]||[[이상 시선집]]
 +
|-
 +
|2005년/13회||시||[[김명인]]||[[파문]]
 +
|-
 +
| ||소설||[[김연수]]||[[나는 유령작가입니다]]
 +
|-
 +
| ||평론||[[정과리]]||[[문학이라는 것의 욕망]]
 +
|-
 +
| ||번역||[[프란시스카조]]||[[만해 한용운 시전]]
 +
|-
 +
|2006년/14회||시||[[김사인]]||[[가만히 좋아하는]]
 +
|-
 +
| ||소설||[[김인숙]]||[[그 여자의 자서전]]
 +
|-
 +
| ||희곡||[[박근형]]||[[경숙이,경숙 아버지]]
 +
|-
 +
| ||평론||[[최동호]]||[[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
 +
|-
 +
| ||번역||[[정은진]],[[자크 바틸리요]]||[[오래된 정원]]
 +
|-
 +
|2007년/15회||시||[[남진우]]||[[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
|-
 +
| ||소설||[[김훈]]||[[남한산성]]
 +
|-
 +
| ||희곡||[[배상식]]||[[열하일기 만보]]
 +
|-
 +
| ||평론||[[김영찬]]||[[비평극장의 유령들]]
 +
|-
 +
| ||번역||[[강승희]],[[오동식]],[[토르스첸 차이악]]||[[한씨 연대기]]
 +
|-
 +
|2008년/16회||시||[[김혜순]]||[[당신의 첫]]
 +
|-
 +
| ||소설||[[구효서]]||[[나가사키 파파]]
 +
|-
 +
| ||희곡||[[정복근]]||[[짐]]
 +
|-
 +
| ||평론||[[김인환]]||[[의미의 위기]]
 +
|-
 +
|2009년/17회||시||[[송찬호]]||[[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
|-
 +
| ||소설||[[박범신]]||[[고산자]]
 +
|-
 +
| ||평론||[[이광호]]||[[익명의 사랑]]
 +
|-
 +
| ||번역||[[부르스 풀턴]],[[주찬 풀턴]],[[김기청]]||[[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
|-
 +
|2010년/18회||시||[[최승자]]||[[쓸쓸해서 머나먼]]
 +
|-
 +
| ||소설||[[박형서]]||[[새벽의 나나]]
 +
|-
 +
| ||희곡||[[최진아]]||[[1동 28번지,차숙이네]]
 +
|-
 +
| ||평론||[[김치수]]||[[상처와 치유]]
 +
|-
 +
| ||번역||[[최애영]],[[장 벨맹-노엘]]||[[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
 +
|-
 +
|2011년/19회||시||[[신달자]]||[[종이]]
 +
|-
 +
| ||소설||[[임철우]]||[[이별하는 골짜기]]
 +
|-
 +
| ||희곡||[[최치언]]||[[미친극]]
 +
|-
 +
| ||평론||[[염무웅]]||[[문학과 시대현실]]
 +
|-
 +
| ||번역||[[하이디 강]],[[안소현]]||[[칼의 노래]]
 +
|-
 +
|2012년/20회||시||[[백무산]]||[[그 모든 가장자리]]
 +
|-
 +
| ||소설||[[정영문]]||[[어떤 작위의 세계]]
 +
|-
 +
| ||평론||[[황현산]]||[[잘 표현된 불행]]
 +
|-
 +
| ||번역||[[고혜선]],[[프란시스코 카란사]]||[[나무들 비탈에 서다]]
 +
|-
 +
|2013년/21회||시||[[진은영]]||[[훔쳐가는 노래]]
 +
|-
 +
| ||소설||[[김숨]]||[[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
|-
 +
| ||희곡||[[고연옥]]||[[칼집 속에 아버지]]
 +
|-
 +
| ||번역||[[최양희]]||[[열하일기]]
 +
|-
 +
|2014년/22회||시||[[박정대]]||[[체 게바라 만세]]
 +
|-
 +
| ||소설||[[김원일]]||[[아들의 아버지]]
 +
|-
 +
| ||평론||[[남진우]]||[[폐허에서 꿈꾸다]]
 +
|-
 +
| ||번역||[[엘렌 르브랭]]||[[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
 +
|2015년/23회||시||[[마종기]]||[[마흔두 개의 초록]]
 +
|-
 +
| ||소설||[[황정은]]||[[계속해보겠습니다]]
 +
|-
 +
| ||희곡||[[김재엽]]||[[알리바이 연대기]]
 +
|-
 +
| ||번역||[[얀 헨릭 륵스]]||[[바셀린 붓다]]
 +
|-
 +
|2016/24회||시||[[이장욱]]||[[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
 +
|-
 +
| ||소설||[[김이정]]||[[유령의 시간]]
 +
|-
 +
| ||평론||[[정홍수]]||[[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
|-
 +
| ||번역||[[정민정]],[[이르마 시얀자 힐 자네스]]||[[위저드 베이커리]]
 +
|-
 +
|2017/25회||시||[[서효인]]||[[여수]]
 +
|-
 +
| ||소설||[[손보미]]||[[디어 랄프 로렌]]
 +
|-
 +
| ||평론||[[장우재]]||[[불역쾌재]]
 +
|-
 +
| ||번역||[[케빈 오록]]||[[한국시선집:조선시대]]
 +
|-
 +
|}
 +
출처 [http://www.daesan.or.kr/index.html 대산문화재단]
 +
 +
==대산문화재단 위치==
 
{{
 
{{
 
#display_map:
 
#display_map:
40번째 줄: 284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46번째 줄: 289번째 줄: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주어(S)]] || [[목적어(O)]] || A는 B를 ~하다(P) ||  
 
|-
 
|-
| [[노경식]] || [[대산문학상]] || A는 B를 수상했다||  
+
| [[대산문학상]] || [[신용호]] ||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
 
|-
 
|}
 
|}
  
==참고문헌==
+
==출처==
[http://www.daesan.or.kr/index.html 대산문화재단]
+
[http://www.daesan.or.kr/index.html 대산문화재단] 개요, 역대수상자 등
 +
 
 +
[https://www.google.co.kr/maps/place/%EA%B5%90%EB%B3%B4%EC%83%9D%EB%AA%85%EB%B9%8C%EB%94%A9/@37.5709047,126.975844,17z/data=!4m8!1m2!2m1!1z6rWQ67O067mM65Sp!3m4!1s0x357ca2ec81773bc5:0xb9292b641295d2a4!8m2!3d37.5709232!4d126.9778583 구글지도]대산문화재단의 위치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오영빈]]
  
[[분류:사건]] [[분류:대산문학상]] [[분류:오영빈]]
+
[[분류:사건]] [[분류:대산문학상]] [[분류:인문정보콘텐츠]] [[분류:오영빈]]

2018년 6월 23일 (토) 19:16 기준 최신판


대산문학상

개요

대산문학상은 1993년 교보생명 창업자인 대산 신용호에 의해 만들어진 대산문화재단에서 시상하는 문학상이다.

민족문화 창달과 한국문화의 세계화 기여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시/소설/희곡 부문 수상작은 외국어로 번역하고 출판하여 해외에도 알려질 수 있도록하고 있다.

대산문학상 외에도 신인문인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대산창작기금 사업, 대학생들의 작품을 발굴하는 대산대학문학상, 청소년 인재를 발굴, 육성하기 위한 대산청소년문학상 사업들을 포함한 각종 문화 사업들이 시행되고 있다.

시상부문/상금/선정방법/일정

  • 시상부문
  1. 시(시조)
  2. 소설
  3. 희곡
  4. 평론
  5. 번역
  • 상금

부문별 5천만원씩 총 2억원(희곡과 평론은 격년 시상)

  • 선정방법

최근 1년 동안 단행본으로 발표된 작품들을 심사하여 부문별로 작품성이 뛰어난 작품을 선정하여 시상한다.

  • 일정
  1. 후보선정:5월 중순~8월 중순
  2. 작품심사:예심 8~9월, 본심 9~10월
  3. 수상작 발표:11월 초
  4. 시상:11월

역대수상자

수상년도/횟수 부문 수상자 수상작
1993년/1회 고은 내일의 노래
소설 이승우 생의 이면
희곡 오태석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평론 백낙청 현대문학을 보는 시각
번역 이학수 Pine River and Lone Peak 조선 3인 시전집
1994년/2회 이형기 죽지 않는 도시
소설 이청준 흰 옷
평론 김우창 시인의 보석
번역 최윤,파트릭 모리스 광장
1995년/3회 황동규 미시령 큰 바람
소설 최인석 내 영혼의 우물
희곡 이윤택 문제적 인간,연산
평론 유종호 문학의 즐거움
번역 정종화,안선재 The Poet 시인
1996년/4회 정현종 세상의 나무들
소설 이호철 남녘사람 북녘사람
희곡 이강백 영월행 일기
번역 김미혜,실비아 브래잴 풍장
1997년/5회 김춘수 들림,도스토예프스키
소설 박완서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평론 김병익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1998년/6회 신경림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소설 김주영 홍어
희곡 이만희 돌아서서 떠나라
평론 조남현 1990년대 문학의 담론
1999년/7회 황지우 어느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
소설 서정인 베네치아에서 만난 사람
희곡 노경식 천년의 바람
평론 김종철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번역 최미경,장 노엘 주테 열녀춘향수절가
2000년/8회 최승호 그로데스크
소설 이윤기 두물머리
평론 오생근 그리움으로 짓는문학의 집
번역 고광단,장 노엘 주테 생의 이면
2001년/9회 이성부 지리산
소설 황석영 손님
희곡 이근삼 화련한 가출
평론 최원식 문학의 귀환
번역 이인숙,김경희,마리즈 부르뎅 달궁
2002년/10회 김지하 화개
소설 김원우 객수산록
희곡 김명화 돐날
평론 김윤식 우리 소설과의 대화
번역 유영난 영원한 제국
2003년/11회 김광규 처음 만나던 때
소설 송기원 사람의 향기
번역 김에델,김선희 Vogel 새
2004년/12회 이성복 아, 입이 없는 것들
소설 윤흥길 소라단 가는 길
희곡 박상현 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
평론 황광수 길 찾기,길 만들기
번역 박황배 이상 시선집
2005년/13회 김명인 파문
소설 김연수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평론 정과리 문학이라는 것의 욕망
번역 프란시스카조 만해 한용운 시전
2006년/14회 김사인 가만히 좋아하는
소설 김인숙 그 여자의 자서전
희곡 박근형 경숙이,경숙 아버지
평론 최동호 진흙 천국의 시적 주술
번역 정은진,자크 바틸리요 오래된 정원
2007년/15회 남진우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소설 김훈 남한산성
희곡 배상식 열하일기 만보
평론 김영찬 비평극장의 유령들
번역 강승희,오동식,토르스첸 차이악 한씨 연대기
2008년/16회 김혜순 당신의 첫
소설 구효서 나가사키 파파
희곡 정복근
평론 김인환 의미의 위기
2009년/17회 송찬호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소설 박범신 고산자
평론 이광호 익명의 사랑
번역 부르스 풀턴,주찬 풀턴,김기청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2010년/18회 최승자 쓸쓸해서 머나먼
소설 박형서 새벽의 나나
희곡 최진아 1동 28번지,차숙이네
평론 김치수 상처와 치유
번역 최애영,장 벨맹-노엘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
2011년/19회 신달자 종이
소설 임철우 이별하는 골짜기
희곡 최치언 미친극
평론 염무웅 문학과 시대현실
번역 하이디 강,안소현 칼의 노래
2012년/20회 백무산 그 모든 가장자리
소설 정영문 어떤 작위의 세계
평론 황현산 잘 표현된 불행
번역 고혜선,프란시스코 카란사 나무들 비탈에 서다
2013년/21회 진은영 훔쳐가는 노래
소설 김숨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희곡 고연옥 칼집 속에 아버지
번역 최양희 열하일기
2014년/22회 박정대 체 게바라 만세
소설 김원일 아들의 아버지
평론 남진우 폐허에서 꿈꾸다
번역 엘렌 르브랭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2015년/23회 마종기 마흔두 개의 초록
소설 황정은 계속해보겠습니다
희곡 김재엽 알리바이 연대기
번역 얀 헨릭 륵스 바셀린 붓다
2016/24회 이장욱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
소설 김이정 유령의 시간
평론 정홍수 흔들리는 사이 언뜻 보이는 푸른빛
번역 정민정,이르마 시얀자 힐 자네스 위저드 베이커리
2017/25회 서효인 여수
소설 손보미 디어 랄프 로렌
평론 장우재 불역쾌재
번역 케빈 오록 한국시선집:조선시대

출처 대산문화재단

대산문화재단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대산문학상 신용호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출처

대산문화재단 개요, 역대수상자 등

구글지도대산문화재단의 위치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오영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