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
(내용)
59번째 줄: 59번째 줄:
 
*옆면이 여덟면으로 이루어진 크기가 비교적 큰 백자연적이다.  
 
*옆면이 여덟면으로 이루어진 크기가 비교적 큰 백자연적이다.  
  
*연적은 고려시대에는 주로 청자로 만들었고 조선시대에는 백자로 만들었다.
+
*[[연적]]은 고려시대에는 주로 청자로 만들었고 조선시대에는 백자로 만들었다.
  
*푸른색의 코발트빛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표현한 이 백자연적은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는 등 도자기 제작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
*푸른색의 코발트빛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표현한 이 백자연적은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는 등 도자기 제작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출처===

2022년 11월 27일 (일) 08:04 판


백자 청화소상팔경문 팔각연적

종류

  • 유물/공예/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수량

  • 1점

재질

  • 백자

시기

  • 조선 후기(19세기)

크기

  • 높이 12.6cm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소재지 및 관리단체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내용

  • 옆면이 여덟면으로 이루어진 크기가 비교적 큰 백자연적이다.
  • 연적은 고려시대에는 주로 청자로 만들었고 조선시대에는 백자로 만들었다.
  • 푸른색의 코발트빛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표현한 이 백자연적은 다양한 표현 기법을 사용하는 등 도자기 제작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설명

내용

  • 이 연적의 윗면에는 구름과 용 무늬를 매우 입체적으로 표현하였고, 옆의 여덟 면에는 중국의 소강과 상강이 만나는 곳의 대표적인 8가지 아름다운 경치인 소상팔경을 능숙한 필치로 그려 넣었다.
  • 윗면의 문양은 뭉실뭉실 피어나는 구름 사이로 문득 문득 용의 몸이 휘감아 돌고 있는데, 여러 가지 조각 기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매우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 옆면에 묘사된 산수화는 소상팔경의 구체적인 주제가 뚜렷하게 표현되지는 못하였으나 그림의 꽉 짜인 구도 등 회화적인 면이 돋보인다.
  • 여덟 면 가운데 물이 나오는 부분이 있는 면에는 그림이 아닌 시로써 아름다운 경치를 대신 묘사하고 있다.
  • 중앙에 ‘동정추월(洞庭秋月)’이라 하여 주제를 밝히고 그 양옆에 각각 한 구절 씩 시구를 적어 놓아 소상팔경 가운데 '동정추월'의 장면을 표현하였다.
'송하문동자 장한강동거(松下問童子 張翰江東去)'라는 시구를 적어 놓았다.
  • 이 내용은 중국 당나라 시인 가도(賈道 ; 779〜843)가 지은 「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의 구절 일부를 바꿔서 인용한 것이다.
  • 팔각형의 장중한 형태, 회화적인 기량이 돋보이는 문양, 윗면의 장식성 등은 19세기에 제작된 수많은 연적 가운데 중심이 되며, 규모도 백자로 제작된 현존하는 연적 가운데 그 예가 흔치 않은 매우 큰 작품으로 가치가 있다.[1]

참고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진

관련 내부링크

백자 사옹원인 / 백자 사옹원인2

백자 박산형뚜껑 향로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백자 박산형뚜껑향로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청자 오리모양 연적 / 청자 오리모양 연적 2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

청자 기린모양 연적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작성자

각주

  1. 문화재청고시제2001-41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대한민국 관보 제14934호, 61면, 2001-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