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big>'''[朝鮮]'''</big>
 
<big>'''[朝鮮]'''</big>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국가로,
+
[[태조|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국가로,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이씨(李氏)가 27대에 걸쳐 집권했던 왕조.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이씨(李氏)가 27대에 걸쳐 집권했던 왕조.
14번째 줄: 14번째 줄:
 
<big>'''개경'''</big>(開京) <small>(1392~1394년, 1399~1405년)</small>
 
<big>'''개경'''</big>(開京) <small>(1392~1394년, 1399~1405년)</small>
  
<big>'''한성부'''</big>(漢城府) <small>(1394~1399년, 1405~1897년)</small>
+
<big>'''[[서울|한성부]]'''</big>(漢城府) <small>(1394~1399년, 1405~1897년)</small>
  
 
{| cellpadding="10" cellspacing="0" border="1" width="100%"
 
{| cellpadding="10" cellspacing="0" border="1" width="100%"
33번째 줄: 33번째 줄: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12대</div>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12대</div>
 
|-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태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태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정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정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태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태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세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세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문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문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단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단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세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세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예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예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성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성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연산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연산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중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중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인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인종]]</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13대</div>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13대</div>
59번째 줄: 59번째 줄: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24대</div>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24대</div>
 
|-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명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명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선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선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광해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광해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인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인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효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효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현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현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숙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숙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경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경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영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영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정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정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순조</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순조]]</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헌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헌종]]</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25대</div>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25대</div>
77번째 줄: 77번째 줄:
 
| colspan="9" |
 
| colspan="9" |
 
|-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철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철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고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고종]]</div>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순종</div>
+
| rowspan="1"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순종]]</div>
 
| colspan="9" |
 
| colspan="9" |
 
|-
 
|-
99번째 줄: 99번째 줄:
 
'''조선 중기 (1506~1637)'''
 
'''조선 중기 (1506~1637)'''
  
중종반정으로 인한 연산군의 패위부터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시기
+
중종반정으로 인한 연산군의 패위부터 인조 반정으로 광해군이 패위되기까지의 시기.
  
 
==='''정치 체제'''===
 
==='''정치 체제'''===
[[파일:조선전기정치체제.png|프레임|alt=퍼즐 형태의 로고|'''조선 전기의 정치체제''']]
 
 
국왕 중심 전제 군주제이며 중앙정책 결정기관인 의정부(議政府)와 왕명을 집행하는 6조(六曹)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권력의 집중을 막고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조선의 중앙관리제도 특징이었다.
 
 
 
또한 3사(三司)인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조직을 두어 국왕이 잘못하면 이를 바로잡아주었다.
 
 
홍문관은 왕의 자문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
조선 중기 정치 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
근래까지 이 정치 형태는 사화(士禍) 당쟁(黨箏)을 중심으로 하는 망국적인 정치 현상으로 이해되었는데,
  
 +
이러한 부정적 인식의 시작점은 15세기 말 훈구파로 불리우는 기성 관료 집단을 비판하는 사림파(士林派)가 대두하며,
  
 +
두 집단의 충돌로 여러 차례 사화가 반복되었다.
  
 +
이 이후 정치적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집단으로서의 붕당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회'''===
 
==='''사회'''===
129번째 줄: 117번째 줄:
 
'''경제'''
 
'''경제'''
  
조선 초기에는 한양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 시전(市廛)을 설치하였다.  
+
양반과 관리들은 국가로부터 과전 뿐만 아니라 공신전과 별사전 등을 받았다. 이러한 토지들은 모두 자손에게 세습되었고,
  
정부는 곳에 한 가지 물건에 대한 독점 판매권을 주는 대신 세금을 받았으며, 개인의 자유로운 상업 활동은 금지하였다.
+
직전법마저 폐지되며 경제 체제가 문란해졌다.
 +
 
 +
외에도 공납과 군역 등 농민들의 삶은 더욱 힘겨워져 임꺽정과 같은 도적무리들이 횡행하게 되었다.  
  
  
 
'''신분제'''
 
'''신분제'''
  
양천제(良賤制)를 통해 모든 국민을 양인과 비자유민인 노비로 구분하였다.
+
16세기 초에 중인층이 형성되며 양반-중인-상민-천민의 네 계층으로 구분되었다.
  
국가는 양인에게 교육을 받고 벼슬을 할 권리를 주었으며, 이 대신 조세와 군역, 공납의 의무 역시 부과하였다.
 
  
 +
'''학문'''
  
 +
[[성리학]]이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주가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에는 [[율곡 이이]]가 있다.
  
'''사상'''
 
  
조선이 개국하며 성리학을 새로운 유교 지도 이념으로서 내세웠다.
+
===전쟁===
  
조선 전기에는 중앙집권 강화와 부국강병을 위해 성리학과 한나라, 당나라 유학이 주가 되었다.
+
[[임진왜란|임진왜란(1592~1598)]]
  
  
  
'''과학과 예술'''
+
----
 
+
문서제작: [[홍진혁]]
조선 전시의 과학은 특히 천문학이 돋보이는데, 세종 때 울을 표준으로 한 정확한 달력, 혼천의 등 다양한 천문학을 중심으로 둔
 
  
발명품들이 발명되었다.
 
  
또한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등이 과학 기구들이 발명되었다.
+
[[분류:역사]][[분류:조선시대]][[분류:디지털과 지식콘텐츠]][[분류:홍진혁]]
 
 
조선시대의 예술은 도자기, 그림, 공예, 건축 등 여러 분야에서 한국적 정서를 확립하였다.
 
 
 
도자기는 15세기에는 백자와 분청사기들이 주로 만들어졌다.
 
 
 
 
 
 
 
----
 
문서제작: [[홍진혁]]
 

2022년 12월 7일 (수) 00:52 기준 최신판

조선

개요

퍼즐 형태의 로고
조선의 영토

조선

[朝鮮]

이성계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한 국가로,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이씨(李氏)가 27대에 걸쳐 집권했던 왕조.

수도

개경(開京) (1392~1394년, 1399~1405년)

한성부(漢城府) (1394~1399년, 1405~1897년)

조선의 역대 왕
1대
2대
3대
4대
5대
6대
7대
8대
9대
10대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26대
27대


조선 시대

요약

조선 중기 (1506~1637)

중종반정으로 인한 연산군의 패위부터 인조 반정으로 광해군이 패위되기까지의 시기.

정치 체제

조선 중기 정치 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근래까지 이 정치 형태는 사화(士禍) 당쟁(黨箏)을 중심으로 하는 망국적인 정치 현상으로 이해되었는데,

이러한 부정적 인식의 시작점은 15세기 말 훈구파로 불리우는 기성 관료 집단을 비판하는 사림파(士林派)가 대두하며,

두 집단의 충돌로 여러 차례 사화가 반복되었다.

이 이후 정치적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집단으로서의 붕당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회

경제

양반과 관리들은 국가로부터 과전 뿐만 아니라 공신전과 별사전 등을 받았다. 이러한 토지들은 모두 자손에게 세습되었고,

직전법마저 폐지되며 경제 체제가 문란해졌다.

이 외에도 공납과 군역 등 농민들의 삶은 더욱 힘겨워져 임꺽정과 같은 도적무리들이 횡행하게 되었다.


신분제

16세기 초에 중인층이 형성되며 양반-중인-상민-천민의 네 계층으로 구분되었다.


학문

성리학이 조선 전기와 마찬가지로 주가 되었다. 대표적인 인물에는 율곡 이이가 있다.


전쟁

임진왜란(1592~1598)



문서제작: 홍진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