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혜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글)
(관련 기타 사항)
374번째 줄: 374번째 줄:
 
==='''관련 미디어'''===
 
==='''관련 미디어'''===
 
==='''관련 기타 사항'''===
 
==='''관련 기타 사항'''===
 
 
<br/>
 
<b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390번째 줄: 389번째 줄:
 
|-
 
|-
 
|나혜석||구미유기||집필했다||비고
 
|나혜석||구미유기||집필했다||비고
 +
|-
 +
|나혜석||인상주의 화법||구사했다||비고
 
|-
 
|-
 
|나혜석||김우영||이혼했다||비고
 
|나혜석||김우영||이혼했다||비고
398번째 줄: 399번째 줄:
 
|-
 
|-
 
|나혜석||최린||외도했다||비고
 
|나혜석||최린||외도했다||비고
 +
|-
 +
|나혜석||봉건제||비판했다||비고
 +
|-
 +
|나혜석||신여성||평가되다||비고
 +
|-
 +
|나혜석||2.8독립선언||참여했다||비고
 
|-
 
|-
 
|나혜석||정조 유린 위자료 소송 사건||청구했다||비고
 
|나혜석||정조 유린 위자료 소송 사건||청구했다||비고
 +
|-
 +
||나기정||나혜석||낳았다||비고
 +
|-
 +
||나혜석거리||나혜석||기린다||비고
 +
|-
 +
||김우영||일본 외무성||소속되다||비고
 +
|-
 +
||경희||삼종지의||비판했다||비고
 +
|-
 +
||여자계||경희||발표했다||비고
 +
|-
 +
||경희||페미니즘 문학||소속되다||비고
 +
|-
 +
||모된감상기||페미니즘 문학||소속되다||비고
 +
|-
 +
||구미유기||페미니즘 문학||소속되다||비고
 +
|-
 +
||이혼고백서||페미니즘 문학||소속되다||비고
 +
|-
 
|}
 
|}
  

2022년 6월 3일 (금) 13:33 판



소개글


나혜석(1896.04.28.~1948.12.10.)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화가이자 작가, 시인, 조각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몇 안되는 여성 근대 작가로서 여성 인권에 관한 논설, 조혼과 가부장제 사회를 비판하는 소설을 꾸준히 발표하며 그 당시 여성의 사회적 불평등을 세상에 알렸다.
대표 작품으로는 「경희」, 「모된 감상기」, 「구미시찰기」, 「이혼고백서」 등이 있다.
최초의 한국 근대 여성 문학을 쓴 작가로 현 시대에서 시대를 앞서간 페미니스트라는 평가를 받는다.

생애


부모님과 형제

유년 시절

결혼

세계여행

이혼

작고


문학 활동


대표 작품

경희

모된 감상기

구미시찰기

이혼고백서


작품 평가

작품 세계

문학사적 의의


활동 작품


그림 목록

작품 제목 작품 출간 시기 작품 유형 작품 참고 사항
<농가> 1922 선적도록 유채 제1회 입선
<春춘(봄)이 오다> 1922 선적도록 유채 제1회 입선
<滿洲만주 봉천 풍경> 캔버스에 유채 27*39 개인소장
<농촌 風景풍경> 1923 합판에 유채 23.5*32.5 개인소장
<봉황산> 1923 선적도록 유채 제2회 입선
<봉황성의 남문> 1923 선적도록 유채 제2회 4등 입상 개인 소장
<秋추(가을)의 庭정(뜰)> 1924 선적도록 유채 제3회 4등 입상
<初夏초하(초여름)의 오전> 1924 선적도록 유채 제3회 입선
<娘娘廟낭랑묘> 1925 선적도록 유채 제4회 3등 입상
<天后宮천후궁> 1926 선적도록 유채 제5회 특선
<支那町지나정> 1926 선적도록 유채 제5회 입선
<봄의 오후> 1927 선적도록 유채 제6회 무감사 입선
<金雨英김우영 초상> 1927 유채 개인소장
<裸婦나부(벌거벗은 아내) 습작> 1927 유화
<舞姬무희> 1927~1928 캔버스에 유채 39*33.5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파리 風景풍경> 1927~1928 목판에 유채 23*33 개인소장
<스페인 國境국경> 1928 목판에 유채 23.5*33 개인소장
<불란서(프랑스) 마을 풍경> 1928 유채 30*5.5 개인소장
<스페인 해수욕장> 1928 캔버스에 유채 32.5*43 개인소장
<仁川인천風景풍경> 합판에 유채 15*22 개인소장
<自畵像자화상> 1928 캔버스에 유채 65*50 개인소장
<녹동 풍경> 1929~1930 유채 개인소장
<어린이들> 1930 선적도록 유채 제9회 입선
<畵家村화가촌> 1930 선적도록 유채 제9회 입선
<裸婦나부> 1931 선적도록 유채 제10회 입선
<庭園정원> 1931 선적도록 유채 제10회 특선, 제12회 제전 입선
<芍藥작약> 1931 선적도록 유채 제10회 입선
<소녀> 1932 선적도록 유채 제11회 무감사 입선
<창가에서> 1932 선적도록 유채 제11회 무감사 입선
<金剛山금강산萬相亭만상정> 1932 선적도록 유채 제11회 무감사 입선
<善竹橋선죽교> 1933 목판에 유채 23*33 개인소장
<다솔사> 합판에 유채 54*69 개인소장
<화령전 작약> 1934 목판에 유채 34*23 리움삼성미술관
<水原수원 西湖서호(서쪽 호수)> 1934 목판에 유채 30*39 개인소장
<별장> 1935 목판에 유채 22.5*33 개인소장
<海印寺해인사 石塔석탑> 1938 즈음 합판에 유채 32*33 개인소장
<불란서 교외 풍경> 캔버스에 유채 8호 개인소장
<早朝조조> 1920. 01 판화 『공제』
<개척자> 1921. 07 판화 『開闢』개벽 13호
<저것이 무엇인고> 1920. 04 만화 『신여자』
<김일엽 선생의 가정생활> 1920. 06 만화 『신여자』
<廉想涉염상섭(1897~1963) 작품집> 1924 표지화 『견우화』
<섣달대목> 1919. 01. 21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섣달대목> 1919. 01 30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섣달대목> 1919. 02 01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초하룻날> 1919. 02. 02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초하룻날> 1919. 02. 03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초하룻날> 1919. 02. 04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초하룻날> 1919. 02. 06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초하룻날> 1919. 02. 07 만필 『每日申報』매일신보
<경성역에서>, <전동식당에서> 1932(?) 만필
<계명구락부에서> 만필
<총석정 어촌에서> 1932 만필
<인형의 家가> 1921. 03. 02 ~ 05 삽화 『每日申報』매일신보
<이상을 지시하는 계명자> 1932. 12 삽화 『계명』


저작 목록

작품 제목 작품 발표지 작품 출간시기 작품 유형
「理想的이상적 夫人부인」 『學之光』학지광 1914. 12 여성비평
「雜感잡감」 『學之光』학지광 1917. 03 여성비평
「雜感잡감-K언니에게 與여(주다)」 『學之光』학지광 1917. 07 여성비평
「夫婦부부」 『女子界』여자계 1호 1917(미발굴) 단편소설
「경희」 『女子界』여자계 2호 1918. 03 단편소설
「光」광 『女子界』여자계 1918. 03
「回生회생한 孫女손녀에게」 『女子界』여자계 3호 1918. 09 단편소설
「四年4년前전의日記일기中중에서」 『신여자』 1920. 06 수필
「부인문제의 일단」 『曙光』서광 1920. 07 여성비평(미확인)
「繪畵회화와 朝鮮조선 女子여자-新進신진(새로 나서다) 女流여유의 氣焰기염」 『東亞日報』동이일보 1921. 02. 26 미술에세이
「洋畵양화(바다 그림) 展覽전람(펼쳐 봄)에 對대야」 『每日申報』매일신보 1921. 03. 17 미술에세이
「人形인형의 家가」 『每日申報』매일신보 1921. 04. 03
「내물」 『廢墟』폐허 제2호 1921. 04
「砂사(모래)」 『廢墟』폐허 제2호 1921. 04
「閨怨규원(버림받은 부녀의 원한)」 『新家庭』신가정 1927. 07 단편소설
「婦人부인衣服의복改良개량問題문제-金元周김원주兄형의意見의견에對대하야」 『東亞日報』동이일보 1921. 09. 29 ~ 10. 01 여성비평
「노라」 『노라』(영창서관) 1922. 06 노래가사
「母모된感想記감상기」 『東明』동명 1923. 01. 01. ~ 21 페미니스트 산문
「百結生백결생에게答답함」 『東明』동명 1923. 03. 18 여성비평
「『부인』의 탄생을 축하하여」 『婦人』부인 1923. 04 여성비평(미확인)
康明花강명화의 自殺자살에 對대하야 『東亞日報』동이일보 1923. 07. 08 여성비평
夫妻間부처간의 問答문답 『新女性』신여성 1923. 11 페미니스트 산문
「만주의 녀름」 『新女性』신여성 1924. 07 수필
「一年1생만에 본 京城경성의 雜感잡감(온갖 감성)」 『開闢』개벽 1924. 07 수필
「나를 잇지 안는 幸福행복」 『新女性』신여성 1924. 08 페미니스트 산문
「내가 어린애 기른 경험」 『朝鮮日報』조선일보 1926. 01. 03 수필
「생활 개량에 대한 녀자의 부르지짐」 『東亞日報』동이일보 1926. 01. 24 ~ 30 페미니스트 산문
「怨恨원한」 『朝鮮文壇』조선문단 1926. 04 단편소설
「美展미전 出品출품 製作제작 中중에」 『朝鮮日報』조선일보 1926. 05. 20 ~ 23 미술에세이
「내 남편은 이러하외다」 『新女性』신여성 1926. 06 수필
「中國중국과 朝鮮조선의 國境국경」 『時代日報』시대일보 1926. 06. 06
「京城경성 온 感想감상 一片일편」 『東亞日報』동이일보 1927. 05. 27 수필
「예술가의 생활」 『青年』청년 1927. 06 (미확인)
「아오 秋溪추계에게」 『朝鮮日報』조선일보 1927. 07. 28 구미여행기
「愛兒病看護애아(사랑하는 아이)병간호」 『三千里』삼천리 1930. 01 수필
「佛蘭西불란서(프랑스) 家庭가정은 얼마나 다를가」 『東亞日報』동이일보 1930. 03. 28 ~ 04. 02 구미유기
「歐米구미 시찰긔」 『東亞日報』동이일보 1930. 04. 03 ~ 10 구미여행기
「끽연실」 『三千里』삼천리 1930. 05 수필
「巴里파리에서 본 것 늣긴 것-사람이냐? 학문이냐?」 『大潮』대조 1930. 06, 07 합병호 수필
「名流명유 婦人부인과 産兒制限산아제한」 『三千里』삼천리 1930. 08 설문응답
「젊은 夫婦부부」 『太朝』태조 1930. 09 수필
「나를 잇지안는 幸福행복(帝展入選後感想제전입선후감상)」 『三千里』삼천리 1931. 11 페미니스트 산문
「아아 自由자유의 巴里파리가 그리워-歐米漫遊구미만유하고 온 後후의 나」 『三千里』삼천리 1932. 01 페미니스트 산문
「巴里파리의 모델과 畵家生活화가생활」 『三千里』삼천리 1932. 03 미술에세이
「巴里畵家生活파리화가생활」 『三千里』삼천리 1932. 04 미술에세이
「안데팬당式식이다-설문·混迷低調혼미저조의 朝鮮美術展覽會조선미술전님회를 批判비판함」 『東光』동광 1932. 07 설문응답
「朝鮮美術展覽會조선미술전남회-西洋畵總評서양화총평」 『三千里』삼천리 1932. 07. 01 미술비평
「쏘비엣 露西亞行노서아행」 『三千里』삼천리 1932. 12 구미유기 1
「畵家화가로 어머니로-나의 十年間10년간 生活생활」 『新東亞』신동아 1933. 01 페미니스트 산문
「伯林백림의 그 새벽」 『新家庭』신가정 1933. 01 구미여행기
「CCCP」 『三千里』삼천리 1933. 02 구미유기 2
「모델-女人日記여인일기」 『朝鮮日報』조선일보 1933. 02. 28 수필
「伯林백림과 巴里파리」 『三千里』삼천리 1933. 03 구미유기 3
「원망스런 봄밤」 『新東亞』신동아 1933. 04 수필
「의 巴里行파리행」 『三千里』삼천리 1933. 05 구미유기 4
「美展미전의 印象인상」 『每日申報』매일신보 1933. 05. 16 ~ 21 미술비평
「巴里파리의 어머니날」 『新家庭』신가정 1933. 05 구미여행기
「伯林백림에서 倫敦윤돈(런던)지」 『三千里』삼천리 1933. 09 구미유기 5
「연필로 쓴 편지」 『新東亞』신동아 1933. 10 수필
「西洋서양 藝術예술과 裸體美나체미」 『三千里』삼천리 1933. 12 구미유기 6
『김명애』 미간행 1933. 12 장편소설(원고일실)
「떡 먹은 이야기」 『朝鮮中央日報』조선중앙일보 1934. 01. 14 콩트
「밤거리의 祝賀式축하식(歐구)」 『中央』중앙 1934. 02 구미여행기
「多情다정하고 實質的실질적인 佛蘭西불란서(프랑스) 婦人부인-歐米구미 婦人부인의 敎養교양잇는 家庭生活가정생활」 『中央』중앙 1934. 03 구미여행기
「영원히 이저주시오」 『月刊海新』월간해신 1934. 03 수필
「朝鮮조선에 태어난 것을 행복으로 압니다」 『三千里』삼천리 1934. 05 설문응답
「情熱정열의 西班牙行서반아행」 『三千里』삼천리 1934. 05 구미유기 7
「날러간 靑鳥청조(파랑새)-연애와 결혼문제」 『中央』중앙 1934. 05 수필
「女人여인 獨居記독거기(혼자 사는 기록)」 『三千里』삼천리 1934. 07 수필
「巴里파리에서 紐育뉴욕으로」 『三千里』삼천리 1934. 07 구미유기 8
「내가 서울 여시장이 된다면」 『三千里』삼천리 1934. 07 설문응답
「哀話애화 叢石亭海邊총석정해변」 『月刊每申』월간매신 1934. 08 수필
「離婚이혼 告白狀고백상-靑邱氏청구씨에게」 『三千里』삼천리 1934. 08 ~ 09 페미니스트 산문
「太平洋태평양 건너서(故國고국으로)」 『三千里』삼천리 1934. 09 구미유기 9
「伊太利이태리 美術館미술관」 『三千里』삼천리 1934. 11 구미여행기
「伊太利이태리 美術紀行미술기행」 『三千里』삼천리 1935. 02 구미여행기
「新生活신생활에 들면서」 『三千里』삼천리 1935. 02 페미니스트 산문
「앗겨 무엇하리, 靑春청춘을」 『三千里』삼천리 1935. 03
「羅女史나여사의 書翰서한」 『三千里』삼천리 1935. 03 미술관계편지
「歐米구미(유럽+미국) 女性여성을 보고 半島반도 女性여성에게」 『三千里』삼천리 1935. 06 여성비평
「異性間이성간의 友靑論우청론-아름다운 男妹남매의 記기」 『三千里』삼천리 1935. 06 수필
「나의 여교원 시대」 『三千里』삼천리 1935. 07 수필
「獨身女性독신여성의 貞操論정조론」 『三千里』삼천리 1935. 10 여성비평
「巴里파리의 그 女子여자」 『三千里』삼천리 1935. 11 희곡
「英米영미 婦人부인 參政權참정권 運動者운동자 會見記회견기」 『三千里』삼천리 1936. 01 여성비평
「倫敦윤돈(런던의 음역어) 救世軍구세군(기독교의 한 파) 託兒所탁아소(아동복지시설)를 尋訪심방하고」 『三千里』삼천리 1936. 04 여성비평
「佛蘭西불란서(프랑스) 家庭가정은 얼마나 다를가」 『三千里』삼천리 1936. 04 구미여행기
「玄淑현숙(겁고 맑은)」 『三千里』삼천리 1936. 12 단편소설
「애정에 우노라······」 『三千里』삼천리 1937. 04 (미발굴)
「나의 東京女子美術學校時代동경여자미술학교시대」 『三千里』삼천리 1937. 05 수필
「靈영(영혼)이냐, 肉육(육체)이냐, 靈肉영육이냐, 靈肉영육이 合합(+)한 戀愛연애라야한다」 『三千里』삼천리 1937. 12 여성비평
「海印寺해인사의 風光풍광」 『三千里』삼천리 1938. 08 수필


관련 항목


관련 장소

관련 미디어

관련 기타 사항


RDF 출처
주어 목적어 관계 비고
나혜석 경희 집필했다 비고
나혜석 모된감상기 집필했다 비고
나혜석 이혼고백서 집필했다 비고
나혜석 모된감상기 집필했다 비고
나혜석 구미유기 집필했다 비고
나혜석 인상주의 화법 구사했다 비고
나혜석 김우영 이혼했다 비고
나혜석 최승구 사별했다 비고
나혜석 나경석 남매이다 비고
나혜석 최린 외도했다 비고
나혜석 봉건제 비판했다 비고
나혜석 신여성 평가되다 비고
나혜석 2.8독립선언 참여했다 비고
나혜석 정조 유린 위자료 소송 사건 청구했다 비고
나기정 나혜석 낳았다 비고
나혜석거리 나혜석 기린다 비고
김우영 일본 외무성 소속되다 비고
경희 삼종지의 비판했다 비고
여자계 경희 발표했다 비고
경희 페미니즘 문학 소속되다 비고
모된감상기 페미니즘 문학 소속되다 비고
구미유기 페미니즘 문학 소속되다 비고
이혼고백서 페미니즘 문학 소속되다 비고

나혜석 관련 용어

조원 별 선정 용어
김지수 인물
나기정
작품
이혼고백서
단체
일본 외무성
개념
삼종지의
안솔 인물
최승구
작품
구미시찰기
사건
정조유린위자료소송사건
개념
봉건제
유민정 인물
나경석
작품
모된감상기
단체
여자계
개념
축첩제도
천성현 인물
최린
장소
나혜석거리
사건
2.8 독립 선언
개념
신여성
홍성수 인물
김우영
작품
경희
개념
인상주의 화법
개념
페미니즘 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