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평가 및 문학사적 의의)
(작품)
134번째 줄: 134번째 줄:
 
=='''작품'''==
 
=='''작품'''==
  
[[눈이 오시네]]
+
*1922
 +
[[가을의 풍경]]
 +
 
 +
[[단조]]
 +
 
 +
[[말세의 희탄]]
 +
 
 +
[[To-,S.W.Lee.-]]
 +
 
 +
 
 +
*1923
 +
[[나의 침실로]]
 +
 
 +
[[이중(二中)의 사망(死亡)]]
 +
 
 +
[[독백]]
 +
 
 +
[[마음의 꽃]]
 +
 
 +
 
 +
*1924
 +
[[지반(池畔) 정경]]
 +
 
 +
[[방문거절(訪問拒絶)]]
  
[[반딧불]]
+
[[이해를 보내는 노래]]
  
[[조선병(朝鮮病)]]
+
[[허무교도(虛無敎徒)의 찬송가]]
  
[[비 갠 아침]]
 
  
 +
*1925
 
[[이별(離別)을 하느니……]]
 
[[이별(離別)을 하느니……]]
  
[[단조]]
+
[[구루마꾼]], [[엿장수]], [[거러지]]
 +
 
 +
[[조소(嘲笑)]]
 +
 
 +
[[선구자(先驅者)의 노래]]
 +
 
 +
[[몽환병]]
 +
 
 +
[[비음(緋音)]]
 +
 
 +
[[초혼]]
 +
 
 +
[[폭풍우를 기다리는 마음]]
 +
 
 +
[[청량세계]]
 +
 
 +
[[오늘의 노래]]
 +
 
 +
[[바다의 노래]]
 +
 
 +
[[금강송가(金剛頌歌)]]
  
[[나의 침실로]]
+
[[통곡(慟哭)]]
  
[[독백]]
 
  
[[그날이 그립다]]
+
*1926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어머니의 웃음]]
+
[[조선병]]
  
[[대구 행진곡]]
+
[[비 갠 아침]]
  
[[마음의 꽃]]
+
[[도쿄에서]]
  
 
[[파란비]]
 
[[파란비]]
  
[[엿장수]]
+
[[달밤, 도회(都會)]]
 +
 
 +
[[시인에게]]
 +
 
 +
[[본능의 노래]]
 +
 
 +
[[지구흑점의 노래]]
 +
 
 +
[[머-ㄴ 기대(企待)]]
 +
 
 +
[[병적 계절(病的季節)]]
  
[[가을의 풍경]]
+
[[원시적 읍울(悒o鬱)]]
 +
 
 +
[[달아]]
 +
 
 +
[[설어운 조화(調和)]]
 +
 
 +
[[겨울마음]]
 +
 
 +
 
 +
*1928
 +
[[저무는 놀 안에서]]
 +
 
 +
[[비를 다오]]
 +
 
 +
 
 +
*1929
 +
[[곡자사(哭子詞)]]
 +
 
 +
 
 +
*1930
 +
[[대구(大邱)행진곡]]
 +
 
 +
 
 +
*1932
 +
[[예지(叡智)]]
 +
 
 +
 
 +
*1933
 +
[[반딧불]]
  
[[시인에게]]
+
[[농촌의 집]]
  
[[몽환병]]
 
  
 +
*1935
 
[[역천]]
 
[[역천]]
  
 +
[[나는 해를 먹다]]
 +
 +
 +
*1941
 
[[서러운 해조]]
 
[[서러운 해조]]
  
[[말세의 희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연도 미상
 +
[[눈이 오시네]]
 +
 
 +
[[제목미상]]
 +
 
 +
[[새 세계(世界)]]
 +
 
 +
[[교남학교(嶠南學校) 교가(校歌)]]
 +
 
 +
[[머나먼 곳에 있는 님에게(번역시)]]
 +
 
 +
[[만주벌]]
 +
 
 +
[[그날이 그립다]]
 +
 
 +
[[어머니의 웃음]]
 +
 
 +
[[가장 비통한 기욕(祈慾)]]
 +
 
 +
[[청년]]
 +
 
 +
[[빈촌(貧村)의 밤]]
 +
 
 +
[[극단(極端)]]
 +
 
 +
[[무제(無題)]]
  
[[초혼]]
+
[[쓰러져 가는 미술관(美術館)]]
  
 
=='''동인지'''==
 
=='''동인지'''==

2022년 6월 7일 (화) 16:59 판

프로필


생애

1900~1910년대

년도 내용
1901년 5월 22일 대구시 중구 서문로 2가 11번지에서 부친 이시우(李時雨), 모친 김신자(金愼子)의 차남으로 출생
1923년 3월 부친 이시우 사망, 상정 12세, 상화 8세, 상백 6세, 상오 4세
1914년 한문수학을 마친 후 1년간 신학문(일어, 산술, 박물 등 초등학교 과정)을 배움
1915년 서울 계동 32번지에서 하숙하면서 정규교육기관인 경성 중앙학교 입학
1917년 경성 중앙학교 3년 수료, 7월 강원도 일대 방랑
1919년 백기만 등과 대구 3 · 1운동거사 당시 학생운동 배후조종, 선전문 등 사 · 배포 등으로 활동함. 사전에 주요 인물이 검속되어 서울 서대문구 냉동 92번지 박태원의 하숙으로 피신. 10월 공주 출신 서순애(徐順愛)와 혼인

1920년대

년도 내용
1922년 현진건의 소개로 «백조(白潮)» 동인이 되어 나도향, 홍사용, 박종화 등과 친하게 지내면서

창간호에 시 「말세의 희탄」, 「단조」, 「가을의 풍경」 등을 발표, 도일하여 동경에 있는 외국어전문학교인 '아테네 프랑세' 입학

1923년 3월 '아테네 프랑세' 수료, 「나의 침실로」(«백조» 3호) 발표, 9월에 일어난 관동대지진에서 본 일본인의 학살에 분노, 이듬해 3월 귀국.

서울 가회동 소재 취운정(翠雲亭)에 머물면서 시작(詩作)에 전념. 고향 친구 박태원의 죽음을 두고 쓴 시 「이중의 사망」(«백조» 3호) 발표. 김기진 등과 무산계급 문예운동단체인 "파스큘라" 결성

1925년 "파스큘라"가 개최한 천도교기념관에서 문예강연 및 시낭독회에 출연하여 시 '이별을 하느니' 낭독. 8월 박영희, 김기진 등과 '카프(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 발기인으로 참여
1926년 1926년 대표작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개벽» 70호) 발표. 카프 기관지 〈문예운동〉 주간.

「조선병」, 「겨울마음」, 「지구 흑점의 노래」, 「문예의 시대적 변위와 작가의 의식적 태도론」 등을 발표. 장남 용희(龍熙) 출생

1928년 독립운동자금 마련을 위한 'ㄱ당사건'에 연루되어 대구경찰서에 구금(당시 상화는 신간회 대구지회 출판 간사직에 있었다). 상화는 이 시기에 자기 집 사랑방을 '담교장(談交莊)'이라 칭하였으며, 수많은 항일 인사들이 출입

1930년대

년도 내용
1930년 「대구행진곡」(«별건곤(別乾坤)» 10월호) 발표
1932년 담교장이라 칭하던 서문로 집을 처분하고 대구시 중구 장관동 50번지로 이전
1933년 8월 경북지사로부터 교남학교 강사 인가(경북학비 제 449호)를 받고 근무. 담당은 조선어와 영어, 이듬해 사임. 「반딧불」, 「농촌의 집」에 이어 두 번째 창작소설 「초동(初冬)」(«신가정» 10월호) 발표
1934년 차남 충희(忠熙) 출생. 친구들의 권유로 조선일보 경북총국을 경영했으나 실패, 대구시 중구 남성로 35번지로 이주
1935년 시 「역천」(«시원» 2호), 「나는 해를 먹다」(«조강» 2호) 발표, 백부 소남 이일우 사망
1936년 백씨 이상정 장군을 만나러 중국행. 남경, 북경, 상해 등지를 3개월 유람한 후 귀국
1937년 귀국 후 경찰에 구금되어 20여 일 심한 고초를 겪음. 교남학교에 복직하여 교가 작사. 대구시 중구 종로2가 72번지로 이주
1938년 태희(太熙) 출생
1939년 6월 대구시 중구 계산동 2가 84번지로 이사. 교남학교 교가 가사 문제로 가택 수색을 당하여 자신의 시 원고와 보관 중이던 고월 유고까지 압수당함

1940년대

년도 내용
1940년 김소운 번역의 «조선시집»(河出書房)에 「나의 침실로」 등 3편이 수록됨
1941년 시 「서러운 해조」(«문장» 25호) 발표
1943년 4월 25일 오전 8시 45분, 계산동 2가 84번지 고택에서 부인과 세 아이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숙환으로 운명. 달성군 화원면 본리리 산 9번지 월성 이씨 가족묘지에 묻힘. 10월 백기만의 발의로 서동진·박명조 설계, 윤갑기 · 김준묵의 참여로 묘 앞에 ‘詩人白亞月城李公諱相和之墓’라는 비가 세워짐

[1]

작품

  • 1922

가을의 풍경

단조

말세의 희탄

To-,S.W.Lee.-


  • 1923

나의 침실로

이중(二中)의 사망(死亡)

독백

마음의 꽃


  • 1924

지반(池畔) 정경

방문거절(訪問拒絶)

이해를 보내는 노래

허무교도(虛無敎徒)의 찬송가


  • 1925

이별(離別)을 하느니……

구루마꾼, 엿장수, 거러지

조소(嘲笑)

선구자(先驅者)의 노래

몽환병

비음(緋音)

초혼

폭풍우를 기다리는 마음

청량세계

오늘의 노래

바다의 노래

금강송가(金剛頌歌)

통곡(慟哭)


  • 1926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조선병

비 갠 아침

도쿄에서

파란비

달밤, 도회(都會)

시인에게

본능의 노래

지구흑점의 노래

머-ㄴ 기대(企待)

병적 계절(病的季節)

원시적 읍울(悒o鬱)

달아

설어운 조화(調和)

겨울마음


  • 1928

저무는 놀 안에서

비를 다오


  • 1929

곡자사(哭子詞)


  • 1930

대구(大邱)행진곡


  • 1932

예지(叡智)


  • 1933

반딧불

농촌의 집


  • 1935

역천

나는 해를 먹다


  • 1941

서러운 해조


  • 연도 미상

눈이 오시네

제목미상

새 세계(世界)

교남학교(嶠南學校) 교가(校歌)

머나먼 곳에 있는 님에게(번역시)

만주벌

그날이 그립다

어머니의 웃음

가장 비통한 기욕(祈慾)

청년

빈촌(貧村)의 밤

극단(極端)

무제(無題)

쓰러져 가는 미술관(美術館)

동인지

백조

  '말세의 희탄', '나의 침실로', '가을의 풍경' 등 수록

개벽

  '뺴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가상' 등 수록

평가 및 문학사적 의의

  • 퇴폐적인 낭만주의와 계몽주의를 노래하다.
    • 방자한 낭만과 미숙성과 사회개혁과 일제에 대한 저항과 우월감에 가득한 계몽주의와 로맨틱한 혁명사상을 노래하고, 쓰고, 외쳤던 문학사적 의의를 보여주었다.[2]
  • 문화적, 정신사적 전환기,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저항하다.
    • 이상화가 살다 간 1920년대는 이 땅의 봉건적 유교적 가치 질서에 기반을 둔 전통문화가 와해되고 근대적인 서구 문화가 유입되는 문화적, 정신사적 전환기이다.
    • 따라서 민중은 물론 지식인들에게 삶의 딜레마를 한층 가중시킨 궁핍한 시기라 할 수 있으며, 3·1운동의 실패로 이 땅의 지식인들은 절망과 비애 속에서 희망을 잃고 자포자기 상태에 놓였다.
    • 이러한 시대적 상황으로 그의 작품이 전체적으로 어둡고 침울하며 죽음과 관련된 내용이 많다.
    • 하지만, 이상화가 다른 시인들과 달리 민족저항 시인으로 평가받는 것은 그가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저항적인 태도를 취하였기 때문이다.[3]
  • 이상화만의 시 세계를 구축하다.
    • 1920년대 시단의 다양한 흐름 속에서도 그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우리의 자생적인 사상이라 할 수 있는 전통 철학의 토대 위에 그 나름의 시세계를 구축하였다.[4]

연구 자료

단행본

학술 논문

이상화 시의 대종교 미학.한국근대문학연구,22(1),237-274.홍승진.(2021).

이상화의 시 세계에 나타난 생명 회복 공간으로서의 ‘조선’.종교연구,81(1),177-199.유신지.(2021).

이상화 시의 시어 양상 연구.한국시학연구,(64),9-30.박순원.(2020).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한국시학연구,(64),31-64.배선미.(2020).

이상화의 시에서 ‘생명(生命)’ -대정(大正)기 일본의 생명주의와 관련하여-.한국문학과 예술,30(),289-317.유병관.(2019).

이상화와 보들레르의 비교문학적 고찰 - 죽음의 문제를 중심으로.인문학연구,31(),163-205.김용민.(2019).

이상화 시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죽음충동.現代文學理論硏究 0.73:127-146.박한라.(2018).

이상화 시에서 드러난 남성 화자의 자기분열: 「그의 수줍은 연인에게」와 「어느 마돈나에게」와의 비 교를 중심으로." 比較文學 0.76:5-32.김한성.(2018).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어문론총 74.301-329.유신지,여상임.(2017).

관련 자료

매체

이상화 기념 사업회


앨범

  • 민족시인 이상화 시노래
  • 2011년 5월에 나온 국악 크로스오버로 분류되는 '민족 시인 이상화 시 노래'앨범은 총 9곡의 이상화 시인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


대구시립국악단의 이상화 고택

  • 대국시립국악단의 국악이 있는 풍경에 나온 이상화 고택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국악연주다.


다큐드라마

  • 1984년 12월 20일에 KBS에서 방송된 다큐드라마 민족시인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다.


축제

대구 문화재 여행.jpg

대구 문화재 여행

  • 현재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개최한 대구문화재 야행은 대구 지역의 역사적인 장소를 탐방하고 체험하는 축제이다.
  • 대구문화재 야행은 금, 토요일 청라언덕부터 약령시 일원에서 열린다고 한다.
  • 이상화 서상돈 고택 탐방 및 공연, 뮤지컬 시간여행, 콘서트, 이상화 시 캘라그라피 공모전 등 대구시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 대구문화재 야행


상화문학제.jpg

상화문학제

  • 대구 수성구 축제로 이상화 시인의 문학과 민족정신을 기리기 위한 축제이다.
  • 2010년부터 연마다 주제를 지정하고 이에 맞게 문학세미나, 문화제 및 이상화시인상 시상, 백일장, 시 낭송, 이상화 시인 유적 탐사 등을 진행한다.
  • 대구문화예술회관을 통해 안내를 확인할 수 있다.

대구문화예술회관

공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학생 창작 뮤지컬

  • 대경대학교 뮤지컬과에서는 이상화 시인의 시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창작 뮤지컬화하여 공연한 적이 있다. 안동 KBS 뉴스의 1분 18초부터 확인할 수 있다.
안동 KBS 뉴스


이상화 마당극.jpg

이상화 마당극

  • 대구문화재 야행은 이상화 서상돈 고택 앞에서 이상화 시인의 야야기를 재현한 마당극을 진행하였다. 지금은 행사가 취소된 상태이다.


뮤지컬 '비 갠 하루'

  • 제 74주년 광복절을 맞이하여 대구문화예술회관을 대구를 대표하는 항일민족시인 이상화와 그의 형수이자 국내최초 여성비행사인 권기옥의 이야기를 담은 뮤지컬을 공연했다.
  • 대구신문을 통해 자세한 사진을 살펴볼 수 있으며, 대구문화예술회관을 통해 2017년 8월 15일 10시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열렸음을 알 수 있다.
  • 대구신문

네트워크 그래프

RDF

주어 목적어 서술어
이일우 이상화 백부이다
김신자 이상화 낳았다
이상정 이상화 형이다
이상백 이상화 동생이다
이상오 이상화 동생이다
이일우 국채보상운동 주도했다
이일우 대구광학회 설립하였다
이일우 우현서루 개관하였다
김신자 애국부인회 이끌었다
김신자 달서여학교 운영하였다
이상정 독립운동 참여하였다
이상백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역임하였다
이상오 '한국야생동물기' 저술했다
이상화 대구 학생봉기 주도하였다
이상화 백조 등단하였다
이상화 말세의 희탄 집필하였다
이상화 단조 집필하였다
이상화 가을의 풍경 집필하였다
이상화 관동대지진 겪었다
이상화 파스큘라 가담하였다
이상화 카프 참여하였다
이상화 개벽 발표하였다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집필하였다
이상화 의열단 이종암 사건 참여하였다
이상화 노동야학원 한글교육 참여하였다
이상화 교남학교 후진 양성 참여하였다

온톨로지

문화공간

  • 상화기념관•이장가문학관

상화기념관•이장가문학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민족 시인 이상화 시인을 기념하고 독립운동가 등 대구 근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경주 이씨 논복공파 이장가 인물들의 업적인 대구 계몽운동의 시작과 문화계, 학계, 항일운동 등의 문화를 기리는 공간이다.

상화기념관•이장가문학관


  • 이상화 고택

이상화고택

지도를 불러오는 중...

이상화 고택은 암울한 시대를 살면서 일제에 저항한 민족시인 이상화의 정신을 기리고, 후손에게 선생의 드높은 우국정신과 문학적 업적을 계승하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었다.

이상화 고택

출처

  1. 이상화기념사업회 sanghwa.org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상화(李相和))]
  3. 송화영. "이상화 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2007. 대전
  4. 유신지 and 여상임. (2017).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 어문론총, 74, 30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