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문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잡지의 표지)
33번째 줄: 33번째 줄:
  
 
=== '''잡지의 표지''' ===
 
=== '''잡지의 표지''' ===
  『조선문단』 표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잡지 표제 위에, '[[이광수]] 주재'를 표나게 내세웠다는 것이다. 이는 당대 인기와 권위를 가졌던 [[이광수]]의 명성과 『조선문단』이 가진 범문단적 종합성, 교과서적 기획을 상징적으로 결합시키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아나톨 프랑스]] 등 외국의 거장을 사진으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잡지 본문 기획에서도 드러난, 해외 문예 거장과 조선 [[문인]]을 등가로 대비하는 기획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
『조선문단』 표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잡지 표제 위에, '[[이광수]] 주재'를 표나게 내세웠다는 것이다. 이는 당대 인기와 권위를 가졌던 [[이광수]]의 명성과 『조선문단』이 가진 범문단적 종합성, 교과서적 기획을 상징적으로 결합시키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아나톨 프랑스 등 외국의 거장을 사진으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잡지 본문 기획에서도 드러난, 해외 문예 거장과 조선 [[문인]]을 등가로 대비하는 기획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 '''작가 배출''' ===
 
=== '''작가 배출''' ===

2022년 6월 14일 (화) 21:32 판


개요

조선문단사에서 이광수가 순수 문예지로 1924년에 창간한 잡지.문예지.

내용

1924년 10월 창간되어 1936년 6월 통권 26호로 종간되었다.

1~4호까지는 이광수(李光洙)가 주재하였고, 1~17호까지는 방인근(方仁根)에 의하여 편집 겸 발행되다가 휴간되었다.

1927년 1월 18호부터 남진우(南進祐)에 의하여 속간되었으나 다시 휴간되었고, 1935년 2월 통권 21호가 속간 1호로 다시 발간되어 26호까지 발행되었다.

특징

잡지의 표지

『조선문단』 표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잡지 표제 위에, '이광수 주재'를 표나게 내세웠다는 것이다. 이는 당대 인기와 권위를 가졌던 이광수의 명성과 『조선문단』이 가진 범문단적 종합성, 교과서적 기획을 상징적으로 결합시키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아나톨 프랑스 등 외국의 거장을 사진으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잡지 본문 기획에서도 드러난, 해외 문예 거장과 조선 문인을 등가로 대비하는 기획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작가 배출

『조선문단』은 문학지망생의 등용문인 ‘현상모집 추천제’를 두어 많은 작가를 배출했다. 



 훗날 문단에 이름을 크게 남긴 이는 최서해, 채만식, 박화성, 임영빈, 한병도, 계용묵, 안수길 등이다. 
 김동인의 감자, 전영택의 화수분, 현진건B사감과 러브레터, 최서해탈출기, 나도향의 물레방아, 계용묵백치 아다다등 한국 신문학 초창기의 문제작들을 게재하는 등 문학사에 끼친 공로가 컸다.

다양한 특집물 기획

 『조선문단』은 창간초기부터 다양한 특집물을 기획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시, 소설, 문학 등에 대한 개론을 기획하여 연재한 것이다. 1924년 창간호부터 이광수의 「문학강화」(1호~5호)와 주요한의 「노래를 지으시려는 이에게(시작법)」(1호~3호)가 연재되었고 김억의 「작시법」(7호~12호), 김동인의 「소설작법」(7호~10호)등 일종의 문학교과서에 해당되는 문학개론적 기획물이 집중적으로 연재되었다.
 이광수의 「문학강화」는 당시 대표적 문학개론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문학의 개념, 발생, 형식, 내용, 분류, 창작, 감상, 비평 등을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는데, 오늘의 문학 인문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다.
 김억의작시법(7호~12호)」소제목을 마련하여 시작법의 체제를 갖추고 있다. 동서양 문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근대자유시의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해외문학의 소개

 『조선문단』에서 지속적으로 기획한 것 중에서 주요한 부분 중 하나가 해외 문학에 대한 소개이다. 거의 매호마다 각국의 문학 개관, 명저 소개 등, 해외문예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다.
 『조선문단』의 해외문예 소개에 있어서 분명한 특색은 ‘각국문학개관’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학을 각 국가의 ‘국민문학’ 단위로 소개하는 것이다. ‘각국문학개관’에서 다루는 국가는 러시아, 영미, 중국, 독일인데, 이 글의 대부분은 “영문학의 특질”, “노서아 문학의 특질”이라는 항목으로 통해 각 국가만의 특성을 명확히 제시하고 그것을 다른 국가, 다른 지역과 차별화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문단의 아우라 창출

 『조선문단』은 ‘문사들의 이모양 저모양-문사들의 동정소개’(1호~5호) ‘국내외 유명 문사들의 초상화 게재’(4호/6호), ‘작가론’시리즈(최남선론-6호/김동인론-9호), ‘문사방문기’시리즈(김기진주요한-19호/박영희김동환-20호),‘문사들의 얼굴’(16호), ‘처녀작발표 당시의 감상’(6호), ‘제작가의 쓸 때의 기분과 태도’(8호), ‘조선문사의 연애관’(10호) 등 문예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다양한 기획들이 실시되었다. 이 기획들의 공통점은 이것들이 ‘문인들 자신에 대한 메타담론’으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이다. 편집진과 필진에는 이광수, 최남선, 김동인, 염상섭, 최서해, 김기진, 박영희 등 이후에 문학사적으로 가름하는 카프와의 대립이나, 이전시기 동인지 문인들이 대타적으로 설정한 이광수 등 이전 세대의 구분 없이 1910년대 일본 유학생들을 필두로 하는 신문학 세대 전체를 망라하는 문인들이 포함된다.
  문인들이 문학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하는 자기를 이야기하는 것이고, 그것을 의식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이런 사생활을 공개하고 그것이 통용될 수 있는 것은 말 그대로 문단, 즉 “문학이라는 차별화된 장” 속에 있다는 감각, 그런 것이 허용되고 소통되는 특별한 장의 주인이라는 감각, 그리고 그런 이야기들이 대중들에게 읽힐 것이라는, 대중들이 그것을 궁금해 하리라는 판단이 게재해 있다.


평가



RDF 및 네트워크 그래프

RDF

주어(S) 목적어(O) 관계:A는 B를 ~하다(P)
조선문단 문학잡지 이다
조선문단 월간잡지 이다
조선문단 1924년 창간되었다
조선문단 1936년 종간되었다
조선문단 방인근 창간되었다
조선문단 이광수 창간되었다
조선문단 해외문학 소개되었다
조선문단 추천제 실시되었다


  • 인물 배출
주어(S) 목적어(O) 관계:A는 B를 ~하다(P)
조선문단 최서해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채만식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박화성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한병도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계용묵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현진건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김소월 배출하였다
조선문단 나도향 배출하였다


네트워크 그래프


  • 인물 배출


출처 및 참고문헌

1. 국립 중앙 도서관, 조선문단

2. 한국 근대문학 해제집, 조선문단

3. 두산백과, 조선문단

4. 한국 민족 문화대백과, 조선문단

5. 정윤성. (2021). 속간 『조선문단』의 배경과 특수성. 한국학연구, 62, 299-326.

6. 차혜영. (2006). 조선문단 연구-‘조선문학’의 창안과 문학 장 생산의 기제에 대하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0(3), 195-228.


작성자 및 기여자

홍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