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소개==
+
==기본정보==
 +
===소개===
 
  창경궁은 성종 14년에 세조비 정희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터에 창건한 궁이다.
 
  창경궁은 성종 14년에 세조비 정희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터에 창건한 궁이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이라는 하나의 궁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 공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이라는 하나의 궁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 공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성종때 창건된 창경궁은 선조 23년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2년 이괄의 난과 순조30년 대화재로 인하여 내전이 소실되었다. 화재에서 살아남은 명정전, 명정문, 홍화문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보여주며, 정전인 명정전은 조선왕궁 법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성종때 창건된 창경궁은 선조 23년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2년 이괄의 난과 순조30년 대화재로 인하여 내전이 소실되었다. 화재에서 살아남은 명정전, 명정문, 홍화문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보여주며, 정전인 명정전은 조선왕궁 법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역사==
+
===역사===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년도||내용
 +
|-
 +
|1418년(세종즉위년 11월초 3일||상왕전(태종)신궁으로 수강궁 영
 +
|-
 +
|1483년(성종 14년)||수강궁터에 창경궁 영건
 +
|-
 +
|1592년(선조 25년)||임진왜란으로 소실
 +
|-
 +
|1616년(광해군 8년)||명정전, 문정전, 환경전, 인양전, 공사청, 홍화문 등 중건
 +
|-
 +
|1623년(인조 원년)||인조반정시 저승전 소실
 +
|-
 +
|1624년(인조 2년)||이괄의 난으로 통명전, 양화당, 환경전 등 소실
 +
|-
 +
|1633년(인조 11년)||통명전, 양화당, 환경전, 함인정 등 중건
 +
|-
 +
|1670년(현종 11년)||건극당 건립
 +
|-
 +
|1777년(정조 원년)||자경전 건립
 +
|-
 +
|1779년(정조 3년)||월근문 건립
 +
|-
 +
|1790년(정조 14년)||통명전 화재
 +
|}
 
==창경궁 미리보기==
 
==창경궁 미리보기==
 
===[[①홍화문]]===
 
===[[①홍화문]]===

2023년 6월 4일 (일) 13:48 판

기본정보

소개

창경궁은 성종 14년에 세조비 정희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터에 창건한 궁이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이라는 하나의 궁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 공간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성종때 창건된 창경궁은 선조 23년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2년 이괄의 난과 순조30년 대화재로 인하여 내전이 소실되었다. 화재에서 살아남은 명정전, 명정문, 홍화문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보여주며, 정전인 명정전은 조선왕궁 법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역사

년도 내용
1418년(세종즉위년 11월초 3일 상왕전(태종)신궁으로 수강궁 영
1483년(성종 14년) 수강궁터에 창경궁 영건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소실
1616년(광해군 8년) 명정전, 문정전, 환경전, 인양전, 공사청, 홍화문 등 중건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시 저승전 소실
1624년(인조 2년) 이괄의 난으로 통명전, 양화당, 환경전 등 소실
1633년(인조 11년) 통명전, 양화당, 환경전, 함인정 등 중건
1670년(현종 11년) 건극당 건립
1777년(정조 원년) 자경전 건립
1779년(정조 3년) 월근문 건립
1790년(정조 14년) 통명전 화재

창경궁 미리보기

①홍화문

②옥천교

③명정문

④명정전

⑤문정전

⑥숭문당

⑦빈양문

⑧함인정

⑨경춘전

⑩환경전

⑪통명전

⑫양화당

⑬영춘헌·집복헌

⑭풍기대

⑮성종대왕태실 및 성종대왕태실비

⑯춘당지

⑰팔각칠층석탑

⑱대온실(식물원)

⑲관덕정

⑳관천대

㉑선인문

㉒함양문 창덕궁(후원)입구

㉓과학의 문

㉔월근문

㉕관리사무소

㉖집춘문

참조

창경궁 공식 웹사이트